[41번~5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60회 심화 해설(한능검 60회)feat. 한능검기출
안녕하세요:)
역사 블로그 '토요히스토리' 입니다.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드디어 60회 마지막이네요 ㅎㅎ
오늘도
부지런히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60회 해설(41번~50번)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할게요^^


60회 41번
Key★_ (가) 하지 중장, 무기 휴회 /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6.3)
(나) 제2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7.5)
① 여수·순천 10·19 사건이 일어났다.
- 1948년 입니다. 정부 수립 이후입니다.
②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가 개최되었다.
- (가) 이전입니다. 회의 결과 3가지 내용을 꼭 기억하세요!
③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가 출범하였다.
- 1948년 정부 수립 이후의 일입니다.
(정답) ④ 좌우 합작 위원회가 좌우 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다.
- 맞습니다. 중도파 여운형, 김규식을 중심으로 전개했습니다.
⑤ 유엔 총회에서 인구 비례에 의한 남북 총선거가 의결되었다.
- (나) 이후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대한민국 정부 수립(좌우합작운동)
1. 배경
1) 제 1차 미·소 공동 위원회 휴회
2) 남한의 단독 정부 수립 주장 : 이승만의 정읍 발언(⇐ 북한의 정부 수립 움직임 경계)
※ 정읍발언 : 남한만이라도 단독정부를 수립해서 소련을 격퇴하자
2. 주도세력 : 여운형(중도좌파) + 김규식(중도우파) ⇒ 좌·우 합작 위원회 결성(1946.7)
3. 결과(실패)
1) 좌·우 합작 7원칙 발표(1946.10)
⇒ 임시정부 수립, 미·소공동위원회 재개, 토지개혁(유상매입,무상분배), 친일단 처단, 입법기구의 창설
2) 미 군정의 지원 철회, 좌·우 세력의 외면, 여운형 암살(1947)
3) 제 2차 미·소 공동 위원회의 성과 부진으로 좌절

60회 42번
Key★_발췌 조항 전원 합의, 기립 표결 / 발췌 개헌(1952)
따라서, 답은 ①번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발췌 개헌(1952)
1. 배경
1) 2대 총선에서 이승만지지 세력 급감
2) 재집권을 위해 임시 수도인 부산에서 자유당 창당
2. 부산정치파동
1) 목적 : 제헌헌법으로는 이승만이 대통령에 당선될 가능성이 적었기 때문에 이를 돌파하려함
2) 내용 : 계엄령을 선포하고 야당 국회의원을 연행·협박
3) 결과 : 개헌[발췌개헌]이 가결 ⇒ 166석 중 찬성(163표), 기권(3표)
3. 발췌개헌
1) 대통령 직선제 ⇒ 핵심!!
※ 당시 6.25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이승만은 직선제로 선거가 이루어지만 재선할 수 있다는 자신감⇑
2) 의원내각제, 양원제 ⇒ 제대로 시행X
4. 이승만 대통령 재선(1952) 성공

60회 43번
Key★_ 경무대 앞, 수송초, 교수단 시위 / 4.19 혁명(1960)
(정답) ① 장면 내각이 출범하는 배경이 되었다.
- 맞습니다. 4.19혁명 이후 장면 내각이 출범하였습니다.
② 유신 체제가 붕괴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부마 민주 항쟁(1979) 입니다.
③ 한일 국교 정상화에 반대하여 일어났다.
- 굴욕적인 대일 외교에 반대했던 6·3 시위(1964) 입니다.
④ 신군부의 비상 계엄 확대가 원인이 되었다.
- 광주 5·18 민주화 운동(1980)입니다.
⑤ 호헌 철폐와 독재 타도 등의 구호를 내세웠다.
- 6월 민주 항쟁(1987)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4.19 혁명(1960)
1. 배경(3.15 부정 선거)
1) 부통령 후보 이기붕의 당선을 위해 이승만 정부가 각종 부정행위 자행
※ 이승만은 당시 86세로 고령.. 이를 계승할 부통령 선거 중요
※ 1960년 정·부통령 선거 전에 야당 대통령 후보(조병옥)의 후보의 사망으로 이승만 당선이 확실시 되며 부통령 선거에 관심 집중
2) 장기 집권을 위한 부정 선거 : 사전투표, 공개투표, 완장부대 등..
2. 전개
1) 전국적 시위 확산 : 부정 선거 규탄 시위 ⇒ 김주열 사망 ⇒ 4.19 혁명(시위 확산)
⇒ 경찰 총격으로 사상자 발생 ⇒ 교수들의 시국 선언, 가두시위
2) 이승만 정부 붕괴 : 이승만 하야, 내각 책임제 개헌-★3차 개헌★ ⇒ 총선거에서 민주당 압승

60회 44번
Key★_ 장준하, 100만인 청원 운동 / 유신 헌법
① 내각 책임제를 채택하였다.
- 4.19혁명 이후 허정 과도 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1960)
② 대통령의 연임을 3회로 제한하였다.
- 박정희 정부 시기로, 3선 개헌안을 통과시켰습니다.(6차개헌/1969)
(정답) ③ 대통령에게 국회 해산권을 부여하였다.
- 맞습니다. 대통령 간접 선거, 긴급 조치권 등 유신 헌법입니다.
④ 대통령의 임기를 7년 단임제로 정하였다.
- 전두환 정부입니다.(8차개헌/1972)
⑤ 국회를 참의원과 민의원의 양원제로 구성하였다.
- 4.19혁명 이후 허정 과도 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1960)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유신 헌법
1. 유신체제[제4공화국](1972~1979)
1) 유신헌법 - ★7차 개헌★(1972)
(1) 배경 : 닉슨독트린 발표 이후 냉전 체제가 완화되고, 경제 침체에 따른 불만 고조
(2) 내용
① 대통령의 연임 횟수 제한을 없앰
② 대통령 간접 선거(통일 주체 국민회의에서 6년마다 선출)
③ 대통령에게 긴급 조치권, 국회 해산권, 국회의원 1/3 임명권 부여
(3) 결과 : 박정희의 영구 집권 가능, 독재 체제 강화
(4) 저항
① 김대중 유신 반대 운동 ⇒ 김대중 납치 사건(1973)
② 장준하 유신 개헌 청원 100만인 서명 운동(1873) ⇒ 실족사(1975)
③ 학생 시위 ⇒ 전국 민주 청년 학생 총연맹(민청학련) 사건
④ 3·1 민주 구국 선언(1976)
2) 붕괴
(1) YH 무역 사건 : 신민당사에서 농성하던 가발 공장 여성 노동자 중 1명이 진압 과정에서 사망
(2) 부·마 민주 항쟁(1979.10)
(3) 계엄령 발동
(4) 10·26 사태(박정희 암살, 1979)

60회 45번
Key★_ 포항 종합 제철 준공, 경부 고속 도로 준공, 100억 달러 수출 / 박정희 정부
① 한미 자유 무역 협정(FTA)이 체결되었다.
- 노무현 정부입니다.
② 저유가·저금리·저달러의 3저 호황이 있었다.
- 전두환 정부입니다.
③ 원조 물자를 가공하는 삼백 산업이 발달하였다.
- 이승만 정부입니다.
④ 대통령 긴급 명령으로 금융실명제가 실시되었다.
- 김영삼 정부입니다.
(정답) ⑤ 농촌의 근대화를 표방한 새마을 운동이 전개되었다.
- 맞습니다. 박정희 정부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박정희 정부의 경제 성장
1.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 장면 내각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보완하여 국가 주도의 경제 개발 추진
2. 제 1,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1962~1966, 1967~1971)
1) 특징: 경공업(가발, 섬유 산업) 중심, 노동 집약적 산업 육성 ⇒ 수출 주도형 경제 개발 계획
2) 성과: 높은 경제 성장률, 경부 고속 국도 개통(1970)
3. 제 3,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1972~1976, 1977~1981)
1) 특징: 중화학 공업 중심의 경제 발전 추진, 자본 집약적 산업 육성
2) 성과
① 수출액 100억 달러 달성
② 석유파동 극복: 서아시아의 건설 사업에 진출 ⇒ 오일 달러를 벌어들여 위기 극복
③ 고부가가치 산업 구조로 개편
4. 특징
1) 수출 중심·정부 주도의 경제 성장
2) 수출과 국민 소득의 급격한 증가
3) ‘한강의 기적’ 이라는 급속한 경제 성장 이룩
5. 한계
1) 노동문제 : 전태일의 분신 사건(1970)
2) 농어촌 간 소득 격차 문제 야기

60회 46번
Key★_ 인쇄 문화사
(정답) ① (가) - 주자소를 설치하여 인쇄하였다.
- 세계 최고의 목판 인쇄물입니다.
② (나) - 대장도감에서 판각한 목판으로 찍었다.
- 맞습니다. 팔만대장경입니다.
③ (다) -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 활자로 간행하였다.
- 맞습니다. 직지심체요절입니다.
④ (라) - 이천, 장영실 등이 제작한 활자로 인쇄하였다.
- 맞습니다. 세종 때 갑인자로 인쇄하였습니다.
⑤ (마) - 납으로 만든 활자를 사용해 박문국에서 발행하였다.
- 맞습니다. 한성순보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인쇄 문화사
역대 인쇄술에 대한 역사를 꼼꼼하게 정리해 두세요^^

60회 47번
Key★_ 보도지침 자료, 남영동 치안본부 대공분실 / 전두환 정부
(정답) ① 서울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 서울 올림픽 개최(1988)는 노태우 정부입니다.
② 야간 통행 금지가 해제되었다.
③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이 발생하였다.
④ 프로 야구가 6개 구단으로 출범하였다.
⑤ 남북 이산가족 고향 방문이 최초로 이루어졌다.
- 맞습니다. 전두환 정부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전두환 정부
1. 성립
1) 신군부가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입법·사법·행정 총괄) 구성(1980.5)
2) 반대세력 숙청, 언론 통폐합, 삼청교육대 실시
3)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전두환을 대통령으로 선출(1980.8)
4) 7년 단임의 대통령 간선제 개헌 - ★8차 개헌★(1972)
5) 민주 정의당 창당
6) 대통령 선거인단이 전두환 선출(1981)
2. 강압통치
1) 언론인 대량 해고
2) 언론 통제
3) 삼청 교육대 운영
4) 민주화 운동 탄압
3. 유화정책
1) 해외여행 자유화
2) 야간 통행금지 폐지
3) 두발·교복 자율화, 과외·학원 전면 금지
4) 민주화 인사 복권
5) 프로 스포츠 개막

60회 48번
Key★_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 채택 / 노태우 정부
① 제2차 남북 정상 회담이 개최되었다.
- 노무현 정부입니다.
②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였다.
- 김영삼 정부입니다.
③ 남북 조절 위원회가 설치되어 통일 방안이 논의되었다.
- 박정희 정부입니다.
(정답) ④ 북방 외교를 추진하여 중국 등 사회주의 국가들과 수교하였다.
- 맞습니다. 노태우 정부입니다. 북방 외교!
⑤ 남북한의 교류 협력을 위한 개성 공업 지구 건설에 합의하였다.
- 김대중 정부입니다. 착공식 진행은 노무현 정부 때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노태우 정부
1. 여소야대 정국 ⇒ 3대 합당을 통해 민주 자유당을 창당 ⇒ 여대야소 정국으로 개편
2. 지방자치제 부분 실시
3. 북방 외교 추진 : 소련·중국 등 공산권 국가와 수교
4. 서울올림픽 개최
5. 남북 관계 진전 : UN 동시 가입(1991), 남북 기본 합의서(1991), 한반도 비핵화 선언(1992)

60회 49번
Key★_ 여성사(종합)
① (가) - 첨성대와 황룡사 구층 목탑을 세우다.
- 맞습니다. 선덕 여왕입니다.
② (나) - 가정 생활의 지혜를 담은 규합총서를 저술하다.
- 생소한 지문이지만 맞습니다! 이빙허각입니다.
③ (다) - 재산을 기부하여 흉년에 굶주린 백성들을 구제하다.
- 맞습니다. 김만덕입니다.
(정답) ④ (라) - 한국 광복군의 기관지 광복을 발행하다.
- 지청천 장군의 딸인 지복영입니다.
⑤ 임금 삭감에 저항하여 을밀대 지붕에서 농성하다.
- 맞습니다. 강주룡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여성사(종합)
여성사에서 주요 인물들을 정리해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60회 50번
Key★_오작교, 음력 7월 7일 / 칠석
따라서, 답은 ②번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세시풍속
본 블로그의 이론정리(세시풍속) 편을 참고해 주세요^^
다음 포스팅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9회 해설(1번~10번)을
풀이하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고생많으셨습니다ㅎㅎ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문제에 대한 저작권은 '국사편찬위원회'에 있습니다.
*문항 사진 등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해설에 오류가 있을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기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번~2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9회 심화 해설(한능검 59회) feat. 한능검기출 (0) | 2025.03.24 |
---|---|
[1번~1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9회 심화 해설(한능검 59회) feat. 한능검기출 (0) | 2025.03.10 |
[31번~4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60회 심화 해설(한능검 60회) feat. 한능검기출 (0) | 2025.02.20 |
[21번~3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60회 심화 해설(한능검 60회) feat. 한능검기출 (0) | 2025.02.18 |
[11번~2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60회 심화 해설(한능검 60회) feat. 한능검기출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