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기출풀이

[31번~4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9회 심화 해설(한능검 59회) feat. 한능검기출

by 토요히스토리 2025. 3. 30.
반응형

[31번~4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9회 심화 해설(한능검 59회)feat. 한능검기출

 

안녕하세요:)

역사 블로그 '토요히스토리' 입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9회 해설(31번~40번)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59회 31번

Key★_조일 수호 조규 / 강화도 조약(1876)

① 최혜국 대우를 최초로 규정하였다.

-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 입니다.

② 통감부가 설치되는 계기가 되었다.

- 을사늑약(1905) 입니다.

③ 천주교 포교 허용의 근거가 되었다.

- 조불 수호 통상 조약(1886) 입니다.

④ 일본 경비병의 공사관 주둔을 명시하였다.

- 임오군란(1882) 입니다.

(정답) ⑤ 부산 외 2곳에 개항장이 설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맞습니다. 강화도 조약(1876)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강화도 조약(1876)의 내용

1. 조선이 자주국임을 규정 ⇒ 청의 종주권 행사를 사전에 차단

2. 3개 항구 개항 ⇒ 부산, 인천, 원산

3. 해안측량권 허용 ⇒ 침략 의도

4. 치외법권(다른 나라의 영토 안에 있으면서도 그 나라 국내법의 적용을 받지 아니하는 권리) 인정

 

59회 32번

Key★_우정총국에서 개국 연회, 일본 병사 / 갑신정변(1884)

① 신식 군대인 별기군이 폐지되었다.

- 임오군란(1882)의 결과입니다

② 김기수를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되었다.

- 강화도 조약(1876) 이후입니다.

③ 이항로와 기정진이 척화주전론을 주장하였다.

- 1860년대의 위정척사운동 입니다.

④ 왕비가 궁궐을 빠져 나와 장호원으로 피신하였다.

- 임오군란(1882) 입니다.

(정답) ⑤ 개화당 정부가 수립되고 개혁 정강이 발표되었다.

- 맞습니다. 갑신정변(1884)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갑신정변(1884)

1. 전개

1)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해 정변

2) 급진 개화파 정부 수립

3) 14개조 개혁 정강 발표

(1) 정치 : 청의 종주권 부인, 입헌군주제 지향, 대원군 귀국 요청(일국의 위상 회복), 4영⇒1영

(2) 경제 : 재정 일원화(호조), 지조법 개혁(토지분배×, 세금 개혁○), 혜상공국×, 환곡×

(3) 사회 : 신분제×, 규장각×

4) 청의 무력 개입, 일본의 약속 불이행으로 실패(3일 천하)

5) 한성조약, 톈진조약 체결

(1) 한성조약 : 배상금 지불, 일본 공사관 신축 비용 요구

(2) 톈진조약 : 양국군 공동 철수, 군 개입시 통보 ⇒ 청·일 전쟁 빌미

2. 의의 :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모색한 최초의 정치 개혁 운동

3. 한계 : 토지 개혁 소홀, 일본에 군사적으로 의존 ⇒ 민중의 외면(위로부터의 개혁)

 

59회 33번

Key★_김홍집과 박영효를 중심으로 구성, 재판소 설치 / 제2차 갑오개혁

① 원수부를 설치하였다.

- 광무개혁(1897)의 내용입니다.

② 기기창을 설립하였다.

- 1880's 초반 정부의 개화정책 입니다.

③ 공사 노비법을 혁파하였다.

- 제1차 갑오개혁 입니다.

④ 태양력을 공식 채택하였다.

- 을미개혁(1895) 입니다.

(정답) ⑤ 한성 사범 학교 관제를 반포하였다.

- 맞습니다. 제2차 갑오개혁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제2차 갑오개혁

1. 정치(박영효+김홍집)

1) 독립서고문(종묘) 발표 ⇒ 홍범14 반포(자주독립국 선포)

2) 왕권⇓: 의정부 8아문 ⇒ 내각 7

3) 지방관⇓: 8도 부·목·군·현 ⇒ 23부 군

4) 재판소 설치 ⇒ 지방관의 행정권과 사법권 분리

5) 훈련대(일본), 시위대(정부·미국·러시아) 설치

2. 경제: 특권 상인의 권리⇓

1) 육의전(조선후기)×

2) 상리국(前혜상공국)×

3. 사회

1) 교육입국조서(근대적 학제) 반포

2) 한성사범학교, 소학교, 외국어학교 설립

 

59회 34번

Key★_대종교를 창시, 독립운동 / 나철

(정답) ① 5적 처단을 위해 자신회를 조직하였다.

- 맞습니다. 나철은 자신회를 조직하였습니다.

② 명동 성당 앞에서 이완용을 습격하였다.

- 이재명 입니다.

③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 안중근 입니다.

④ 타이완에서 일본 육군 대장을 저격하였다.

- 조명하 입니다.

⑤ 동양 척식 주식회사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 나석주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독립운동가

한능검에 등장하는 독립운동가(인물+업적)을 틈틈이 정리해 두세요:)

 

59회 35번

Key★_고종이 임병찬에게 내린, 복벽주의 / 독립 의군부(1912)

① 일본 도쿄에서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였다.

- 일본에서 결성된 조선 청년 독립단 입니다. 2·8 독립 선언서!

② 일제가 제정한 치안 유지법으로 탄압받았다.

- 1925년에 제정된 법입니다. 사회주의·독립운동 탄압!

③ 서간도에 신흥 강습소를 세워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 독립군 양성 기관이었습니다.

④ 독립운동 자금을 모으기 위해 독립 공채를 발행하였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입니다.

(정답) ⑤ 조선 총독에게 제출하기 위해 국권 반환 요구서를 작성하였다.

- 맞습니다. 독립 의군부(임병찬)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독립 의군부(1912)

1. 임병찬이 고종의 밀지를 받아 조직

2. 복벽주의(왕조를 회복하자는 주장) 표방

3. 고종 복위를 목표로 의병 활동 계획 ⇒ 실패(사전에 발각)

 

59회 36번

Key★_독립군의 성과가 컸기 때문에, 대학살, 경신참변 / 간도참변(1920)

① 조선 의용대가 호가장 전투에서 활약하였다.

- 조선 의용대 화북지대 입니다.

(정답) ② 대한 독립군 등이 봉오동에서 일본군을 격파하였다.

- 맞습니다.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에 대한 보복이었습니다.

③ 조선 혁명군이 영릉가에서 일본군에 승리를 거두었다.

- 양세봉의 조선 혁명군 입니다.

④ 한국 독립군이 대전자령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 조선 혁명군과 한국 독립군은 1930년대에 활약했습니다.

⑤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직할 부대로 참의부를 결성하였다.

-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3부로 개편되었습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간도참변(1920)

1. 국내 항일 무장 투쟁 : 천마산대, 구월산대, 보합단

2. 봉오동 전투(1920.6)

1) 홍범도, 대한독립군+@

2) 대한독립군 중심의 독립군 연합 부대가 봉오동에서 일본군을 패배 시킴

3. 훈춘사건(1920.10)

4. 청산리 전투(1920.10) - 백운평전투, 어랑촌전투, 완루구전투

1) 김좌진, 북로군정서군+@ ⇒ 기동성, 지형지물 이용, 지역주민의 도움으로 대승리!

2) 대한독립군 등의 연합 부대가 청산리에서 일본군을 대파

5. 간도참변(경신참변.1920)

1)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에서 패배한 일제의 보복

2) 무차별 학살 자행

6. 대한 독립 군단(1920)

7. 자유시 참변(1921.6.27.)

※ 일본 – 관동대지진(1923) ⇒ 조선인 대학살

8. 3의 성립 : 군사조직·행정제도를 갖춘 자치 단체 결성

1) 참의부(대한민국 임시 정부/지청천)

2) 정의부

3) 신민부(김좌진)

9. 미쓰야협정(1925) : 조선총독부와 만주군벌 간에 체결 ⇒ 독립군의 활동 위축

10. 3부 통합운동

1) 배경 : 신간회(1927) 결성, 좌·우 합작 분위기 형성

2) 혁신의회(북만주) : 이후 한국 독립당으로 개편, 한국 독립군 편성

3) 국민부(남만주) : 이후 조선 혁명당 창설, 조선 혁명군 편성

 

59회 37번

Key★_황제로 즉위한 고종 / 대한제국(광무개혁)

① 영선사 일행으로 청에 가는 생도

- 1880's 초반 정부의 개화정책 입니다.(1881)

② 육영 공원에서 영어를 공부하는 학생

- 최초의 근대식 공립 학교 입니다.(1886)

③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고 있는 영국 해군

- 거문도 사건(1885) 입니다.

(정답) ④ 양전 사업을 실시하고 지계를 발급하는 관리

- 맞습니다. 광무개혁의 내용입니다.

⑤ 보은 집회에서 교조 신원을 주장하는 동학교도

- 보은 집회는 1893년에 열렸습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광무개혁

1. 원칙: 구본신참(옛것을 근본으로 삼고 새것을 참고한다) 표방 ⇒ 점진적 개혁

2. 내용

1) 정치(구본:왕권강화)

(1) 연호(건양⇒광무), 교정소(특별입법기구) 설치

(2) 대한국 국제 선포(1899): 황제권 강화

(3) 원수부 설치(황제가 중앙과 지방의 군대 지휘·감독), 시위대·진위대 증강, 무관학교 설립

2) 경제(신참:부국강병)

(1) 양전 사업(지계 발급): 재정 확충과 근대적 토지 소유권 보장

(2) 식산흥업 정책: 근대적 회사·공장 설립 지원

3) 사회(신참:부국강병)

(1) 기술 학교(철도, 양잠)

(2) 전화, 우편, 전차, 경인선 개통

4) 교육 : 유학생 파견, 실업 학교와 기술 교육 기관 설립

3. 의의 : 국력 증강을 위해 자주적으로 근대 개혁 추진

4. 한계 : 집권층의 보수성, 열강의 간섭으로 성과를 거두지 못함

 

59회 38번

Key★_러시아는 일본이 조선에 갖고 있는 ~~ 인정 / 러일전쟁 이후

① 메가타가 재정 고문으로 부임하였다.

- 제1차 한일 협약(1904) 입니다.

②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다.

- 을미사변 이후 입니다. 아관파천(1896)!

③ 베델과 양기탁이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였다.

- 대한매일신보(1904) 입니다.

④ 관민 공동회가 개최되어 헌의 6조를 결의하였다.

- 독립협회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정답) ⑤ 민종식이 이끄는 의병 부대가 홍주성을 점령하였다.

- 맞습니다. 을사늑약에 저항하여 일어난 을사의병에 대한 내용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을사늑약(1905)

1.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초대 통감 : 이토 히로부미)

2. 고종의 대응

1) 고종의 무효화 선언

2) 헤이그 특사 파견 : 일제의 침략성을 국제 사회에 알리고자 함(특사 : 이상설, 이준, 이위종)

3. 고종의 강제 퇴위

 

59회 39번

Key★_동학에서 시작된 종교, 인내천, 어린이 날 / 천도교

(정답) ① 만세보를 발행하여 민중 계몽에 힘썼다.

- 맞습니다. 동학을 개칭한 천도교 입니다.

② 중광단을 조직하여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

- 대종교를 중심으로 중광단을 조직하였습니다.

③ 배재 학당을 세워 신학문 보급에 기여하였다.

- 미국인 선교사 아펜젤러가 세운 근대식 사립 학교입니다.

④ 박중빈을 중심으로 새생활 운동을 추진하였다.

- 박중빈은 원불교를 창시했습니다.

⑤ 일제의 통제에 맞서 사찰령 폐지 운동을 주도하였다.

- 조선 불교 유신회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일제강점기의 종교

1. 천도교(동학): <개벽>, <어린이>, <신여성>, 제 2의 3·1운동 계획

2. 천주교: 의민단(청산리전투 참여)

3. 대종교: 단군 숭배, 중광단(⇒북로군정서)

4. 원불교: 불교의 대중화, 새생활 운동

5. 기독교: 일부 신사참배 거부

 

59회 40번

Key★_공립 협회, 대한인 국민회, 흥사단 / 안창호

① 일본의 침략 과정을 담은 한국통사를 저술하였다.

- 박은식 입니다.

② 조선학 운동을 주도하여 여유당전서를 간행하였다.

- 정인보 입니다.

③ 백산 상회를 설립하여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였다.

- 안희제 입니다.

④ 친일 인사 스티븐스를 샌프란시스코에서 사살하였다.

- 장인환과 전명운 입니다.

(정답) ⑤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내무총장 겸 국무총리 대리로 취임하였다.

- 맞습니다. 을사늑약에 저항하여 일어난 을사의병에 대한 내용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안창호

빈출 독립운동가(인물+업적)를 꼼꼼하게 정리해 두세요:)

 

다음 포스팅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9회 해설(41번~50번)

이어서 풀이하도록 하겠습니다^^

기출은 계속 반복됩니다.

꾸준하게 달려보겠습니다. +_+

 

*문제에 대한 저작권은 '국사편찬위원회'에 있습니다.

*문항 사진 등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해설에 오류가 있을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