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기출풀이

[21번~3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5회 심화 해설(한능검 55회) feat. 한능검기출

by 토요히스토리 2025. 6. 23.
반응형

[21번~3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5회 심화 해설(한능검 55회)feat. 한능검기출

 

안녕하세요:)

역사 블로그 '토요히스토리' 입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55회 해설(21번~30번)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할게요^^

55회 21번

Key★_정조의 명에 의해 설치된 왕실 도서관 / 규장각

① 을묘왜번을 계기로 상설화되었다.

- 비변사 입니다.

② 은대, 후원이라고도 불리었다.

- 승정원 입니다. 왕명 출납!

③ 5품 이하 관리 임명에 서경권을 행사하였다.

- 대간(사간원+사헌부) 입니다.

④ 대사성을 중심으로 좨주, 직강 등의 관직을 두었다.

- 성균관 입니다.

(정답) ⑤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기 우한 초계문신제를 주관하였다.

- 맞습니다. 규장각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규장각(정조)

1) 탕평책(준론탕평): 외척 제거, 노론·소론·남인의 세력 균형

2) 개혁 정치: 통공 정책(육의전을 제외한 시전의 금난전권 폐지), 서얼과 노비 차별 개선

※ 금난전권: 허가받지 않은 상인이 난전을 하지 못하게 하는 권리

3) 문물 정비: <대전통편>, <동문휘고>, <탁지지>, <무예도보통지> 편찬

4) 왕권 강화: 규장각 육성, 초계문신제, 장용영 설치, 수원 화성 축조

※ 초계문신제: 관리의 재교육을 통해 왕을 지지하는 신하 육성

5) 수령의 권한 강화: 수령이 군현 단위의 향약 주관 ⇒ 지방 사족의 향촌 지배 억제

 

55회 22번

Key★_5군영 중 가장 먼저 설치 / 훈련도감

① 수원 화성에 외영을 두었다.

- 정조 입니다. 장용영 / 서울 도성(내영) / 수원 화성(외영)

② 용호군과 함께 궁성을 호위하였다.

- 현종(고려) 시기입니다. 응양군 / 용호군

③ 후금의 침입에 대비하고자 창설되었다.

- 인조(조선) 시기입니다. 어영청 입니다.

(정답) ④ 포수, 사수, 살수의 삼수병으로 편제되었다.

- 맞습니다. 훈련도감 입니다.

⑤ 일본인 교관을 초빙하여 군사 훈련을 받았다.

- 신식 군대인 별기군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조선시대 중앙군

1) 조선 전기 : 5위(정군+특수병+갑사)

2) 조선 후기

(1) 군역의 요역화 ⇒ 대립제, 방군수포제, 군적수포제 ⇒ ‘임진왜란’ ⇒ 5군영 체제

(2) 5군영 체제 개편

훈련도감: 포수·살수·사수로 구성된 직업 군인

② 어영청(남쪽), 총융청(서쪽), 수어청(동쪽), 금위영(북쪽)

③ 모병제 ⇒ 삼수미 징수

 

55회 23번

Key★_신립, 탄금대에서 패배 / 임진왜란(탄금대 전투 이후)

① 김시민이 진주성에서 항쟁하였다.

② 조명 연합군이 평양성을 탈환하였다.

③ 후금의 침입에 대비하고자 창설되었다.

⑤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적군을 격퇴하였다.

- 맞습니다. 탄금대 전투 이후입니다.

(정답) ④ 송상현이 동래성 전투에서 항전하였다.

- 탄금대 전투 이전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임진왜란

1) 왜군 침략(by. 도요토미 히데요시), 정명가도

2) 초기 방어 실패: 동래성 전투, 충주 전투(탄금대 전투)

3) 선조의 의주 피란, 광해군의 분조 활동

4) 수군(한산도대첩)과 의병(유정, 곽재우 등)의 활약

5) 조·명 연합군의 반격(평양성 회복), 권율(행주대첩), 이순신(한산도대첩)

6) 명과 일본의 휴전 회담 결렬 ⇒ 정유재란(이순신의 명량해전, 노량해전)

휴전 시기 훈련도감(직업군인), 속오군(지방군) 설치!!

7)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왜군 철수

 

55회 24번

Key★_경잠기의, 균역법을 제정 / 영조(조선)

①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완성하였다.

- 성종(조선) 시기입니다.

(정답) ② 붕당의 폐해를 경계하기 위한 탕평비를 건립하였다.

- 맞습니다. 영조(조선) 시기입니다.

③ 시전 상인의 특권을 축소한 신해통공을 실시하였다.

- 정조(조선) 시기입니다.

④ 전세를 1결당 4~6두로 고정하는 영정법을 제정하였다.

- 인조(조선) 시기입니다.

⑤ 각 궁방과 중앙 관서의 공노비 6만여 명을 해방하였다.

- 순조(조선) 시기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영조(조선)

1) 탕평책(완론탕평): 탕평파(국왕을 따르는 사림) 육성, 탕평비 건립, 붕당의 근거지인 서원 정리, 이조 전랑의 권한 제한

2) 개혁 정치: 균역법(1년 2필 ⇒ 1년 1필) 시행, 가혹한 형벌 제도 개선, 신문고 부활

3) 문물 정비: <속대전>, <동국문헌비고>(우리나라 역대 문물 정리) 편찬

 

55회 25번

Key★_황초령비와 서로 흡사, 진흥왕의 고비 / 김정희

① 담헌서를 통해 과거제 폐지를 주장하였다.

- 조선 후기 실학자 홍대용입니다.

(정답) ② 역대 명필을 연구하여 추사체를 창안하였다.

- 맞습니다. 조선 후기 실학자 김정희 입니다.

③ 북학의를 저술하여 수레와 배의 이용을 권장하였다.

- 중상학파 박제가 입니다.

④ 연려실기술에서 조선의 역사를 기사 본말체로 서술하였다.

- 조선 후기 실학자 이긍익 입니다.

⑤ 주역을 바탕으로 수론을 전개한 구수략을 저술하였다.

- 조선 후기 최석정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김정희

김정희는 한능검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입니다. 꼭 정리해 두세요:)

 

55회 26번

Key★_기유약조로 교역이 재개된, 동관 / 일본

ㄱ. 막부의 요청에 따라 통신사를 파견하였다.

- 맞습니다. 총 12회에 걸쳐 일본에 파견했습니다.

ㄴ. 한성에 동평관을 두어 무역을 허용하였다.

- 맞습니다. 동평관은 일본 사신이 머무르는 숙소입니다.

ㄷ. 하정사, 성절사, 동지사 등 사절단을 보냈었다.

- 명나라에 파견한 사절단입니다.

ㄹ. 어윤중을 서북 경략사로 임명하여 사무를 관장하였다.

- 청나라와 관련된 내용입니다.(1882)

 

따라서 정답은 ①번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일본

조선의 대외교류사(사대교린)는 꼭 정리해 두세요:)

 

55회 27번

Key★_보은군, 현존하는 유일한 조선 시대 목탑 / 보은 법주사 팔상전

(정답) ① 법주사 팔상전 / 충북 보은

② 화엄사 각황전 / 전남 구례

③ 금산사 미륵전 / 전북 김제

④ 무량사 극락전 / 충남 부여

⑤ 마곡사 대웅보전 / 충남 공주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목탑

본 블로그의 이론정리(탑) 편을 참고해 주세요:)

 

55회 28번

Key★_서학 처벌(순조/신유박해/1801) / 최제우 처형(1864)

① 왕이 도성을 떠나 공산성으로 피란하였다.

- 이괄의 난 입니다. 인조(조선) 시기입니다.

② 오페르트가 남연군 묘 도굴을 시도하였다.

- 오페르트 도굴 미수 사건(1868) 입니다.

(정답) ③ 홍경래 등이 난을 일으켜 정주성을 점령하였다.

- 맞습니다. 순조 시기로 홍경래의 난(1811)입니다.

④ 교조 신원을 요구하는 삼례 집회가 개최되었다.

- 교조 신원 운동(1892) 입니다.

⑤ 이인좌를 중심으로 한 소론 세력이 난을 일으켰다.

- 영조(조선) 시기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홍경래의 난(1811)

1. 전개

1) 3대(순조, 헌종, 철종) 60여 년 동안 외척 가문을 중심으로 몇몇 가문이 권력 독점

2. 폐단

1) 정치 기강의 문란

(1) 세도 가문이 경제적 이권을 독점하고 부를 축적

(2) 의정부와 6조 기능 약화

(3) 비변사 강화

(4) 과거의 부정과 매관매직 성행

2) 삼정의 문란: 전정(전세 수취 제도), 군정(군포 징수 제도), 환곡(구휼 제도)을 통한 농민 수탈

3. 농민봉기

1) 홍경래의 난(1811): 평안도 지역 차별과 지배층 수탈 ⇒ 홍경래가 하층민을 규합해 봉기

2) 임술 농민 봉기(1862): 삼정의 문란 시정 요구, 진주 농민 봉기 후 전국으로 확대

 

55회 29번

Key★_경복궁 중건 / 흥선 대원군

ㄱ. 비변사가 설치되었다.

- 중종(조선) 시기입니다.

ㄴ. 사창제가 실시되었다.

- 맞습니다. 환곡의 폐단을 바로잡기 위해서 실시되었습니다.

ㄷ. 원납전이 징수되었다.

- 맞습니다. 경복궁 중건을 위해 원납전을 징수하였습니다.

ㄹ. 대전통편이 편찬되었다.

- 정조(조선) 시기입니다. 흥선 대원군은 대전회통!

 

따라서 정답은 번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흥선 대원군

1. 세도정치 타파

1) 안동 김씨 세력·부패 관리 축출

2)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

2. 정치 기구 개혁

1) 비변사의 기능 축소·폐지

2) 의정부(행정)와 삼군부(군사)의 기능 부활

3. 법전 편찬 ⇒ 통치 기강 확립

1) <대전회통> : <경국대전> + <속대전>

2) <육전조례> : 행정법규와 사례를 편집

4. 경복궁 중건

1) 원납전 강제 징수

2) 당백전(상평통보의 100배 가치) 발행 ⇒ 물가 폭등

3) 백성의 노동력 동원, 양반의 묘지림 벌목 ⇒ 양반&백성의 반발

5. 서원 철폐

1) 배경 : 붕당의 근거지 제거, 국가 재정 확충

2) 시행 : 전국 600여 개 중 47개소만 남김 ⇒ 유생들의 반발

6. 삼정 문란 시정

1) 전정 : 양전 사업을 실시하여 은결 색출, 양반과 토호의 토지 겸병 금지 ⇒ 국가 재정 확충

2) 군정 : 호포제 실시(공평한 조세 부담 지향) ⇒ 국가 재정 확충, 양반층의 반발

3) 환곡 : 사창제 실시(주민의 자치적 구휼 제도) ⇒ 환곡의 폐단 시정, 농민 부담 경감

 

55회 30번

Key★_해군 제독 로즈, 프랑스 선고사 희생 / 병인양요(1866)

① 운요호가 강화도와 영종도를 공격하였다.

- 강화도 조약의 배경입니다. 1875년!

(정답) ② 양헌수 부대가 정족산성에서 승리하였다.

- 맞습니다. 병인양요 입니다.

③ 정부가 청군의 출병을 요청하는 계기가 되었다.

- 임오군란(1882), 갑신정변(1884), 동학농민운동(1894) 입니다;;

④ 사태 수습을 위해 박규수가 안핵사로 파견되었다.

- 임술 농민 봉기입니다.

⑤ 흥선 대원군이 톈진으로 압송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임오군란(1882)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병인양요(1866)

1) 배경: 병인박해(1866. 프랑스 선교사·천주교도 처형)⇐러시아 견제 위해 프랑스 이용하려했지만 실패

2) 전개: 프랑스 함대(로즈 제독)의 강화도 침략 ⇒ 문수산성(한성근), 정족산성(양헌수)에서 항전

3) 결과: 프랑스군 철수, 강화도 외규장각 도서와 각종 문화재 약탈

 

다음 포스팅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5회 해설(31번~40번)

이어서 풀이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제에 대한 저작권은 '국사편찬위원회'에 있습니다.

*문항 사진 등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해설에 오류가 있을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