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번~4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70회 심화 해설(한능검 70회)feat. 한능검기출
안녕하세요:)
역사 블로그 '토요히스토리' 입니다.
벌써 중반을 넘었습니다^^
오늘도 차근차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70회 해설(31번~40번)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할게요^^

70회 31번
Key★_돈덕전, 러시아 공사관에서 거처를 옮김 / 덕수궁
(정답) ①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가 개최되었다.
- 맞습니다. 덕수궁 석조전에서 개최되었습니다.
② 도성 내 서쪽에 있어 서궐이라고 불렸다.
- 경덕궁 입니다. 영조 때 경희궁으로 바뀌었습니다.
③ 일제에 의해 창경원으로 격하되기도 하였다.
- 창경궁 입니다.
④ 정도전이 궁궐과 주요 전각의 명칭을 정하였다.
- 경복궁 입니다.
⑤ 태종이 도읍을 한양으로 다시 옮기며 건립하였다.
- 창덕궁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조선의 5대 궁궐
본 블로그의 '이론정리' 편을 참고해 주세요^^궁궐은 가끔씩 등장하는 키워드인것 같습니다.
70회 32번
Key★_고종의 강제 퇴위와 군대 해산에 반발 / 정미의병
① 최익현이 태인에서 궐기하였다.
- 최익현은 을사의병(1905)에 해당합니다.
② 고종의 해산 권고 조칙에 따라 해산하였다.
- 을미의병(1895) 입니다.
③ 민종식이 이끄는 부대가 홍주성을 점령하였다.
- 을사의병(1905) 입니다.
④ 일본에 국권 반환 요구서를 제출하고자 하였다.
- 임병찬의 독립 의군부(1912) 입니다.
(정답) ⑤ 의병 부대가 연합하여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하였다.
- 맞습니다.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에 가담했습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정미의병(1907)
1. 정미의병(1907)
1) 배경: 고종 강제 퇴위, 대한 제국의 군대 해산
2) 특징: 해산 군인의 합류로 의병의 전투력이 강화, 의병 연합 부대 결성
3) 의병 연합 부대 결성(1907): 13도 창의군(총대장:이인영, 군사장:허위)
4) 서울진공작전(1907): 각국 영사관에 의병을 국제법상 교전 단체로 인정해 줄 것을 요청 ⇒ 실패
70회 33번
Key★_경인선(1896), 경부선(1905), 경의선(1906)
① 학도 지원병을 독려하는 지식인
- 학도 지원병 제도는 1943년에 실시되었습니다.
② 금난전권 폐지에 반대하는 시전 상인
- 정조(조선) 시기에 체제공의 건의를 받아들였습니다.(1791)
③ 근우회가 주최하는 강연에 참여하는 여성
- 신간회의 자매단체입니다.(1927)
④ 두모포에서 무력시위를 벌이는 일본 군인
- 조금 생소할 수 있는데, 강화도 조약(1876) 이후 입니다.(1878)
(정답) ⑤ 근대 학문을 가르치는 한성 사범 학교 교사
- 제2차 갑오개혁(1895)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근대 문물 수용
전차(1899. 서대문~청량리), 경인선(1899, 미국⇒일본),
경부선(1905, 일본), 경의선(1906, 프랑스⇒일본)
70회 34번
Key★_국외, 신흥 무관 학교 / 남만주(서간도)
(정답) ① 한인 자치 기구인 경학사가 설립되었다.
- 맞습니다. 서간도에 위치한 한인 자치 기구입니다.
② 권업회가 조직되어 기관지를 발행하였다.
- 연해주 지역에 위치한 권업회 입니다. 이상설!
③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2·8 독립 선언서가 발표되었다.
- 일본 도쿄 유학생들이 주도했습니다.
④ 대조선 국민 군단이 결성되어 군사 훈련을 실시하였다.
- 박용만이 하와이 지역에서 조직했습니다.
⑤ 흥사단이 창립되어 교민들에게 민족의식을 심어주고자 하였다.
- 안창호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흥사단을 조직했습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국외 독립 운동 기지 건설
간도·연해주 / 중국 / 미국을 구분지어 단체들을 숙지해두세요:)
70회 35번
Key★_고종의 인산일, 만세 운동, 독립 선언서 / 3·1 운동(1919)
① 통감부의 방해와 탄압으로 중단되었다.
- 1910년대 이전으로, 국채 보상 운동(1907)이 있습니다.
② 천도교 소년회가 창립된 후 본격화되었다.
- 방정환, 어린이날, 잡지 <어린이>와 관련된 키워드!!
(정답) ③ 일제가 이른바 문화 통치를 실시하는 배경이 되었다.
- 맞습니다. 기만적인 민족 분열 통치가 시작됩니다.
④ 성진회와 각 학교 독서회에 의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과 연관된 내용입니다.
⑤ 시위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사회주의자들이 대거 검거되었다.
- 1920년대의 모습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3·1 운동(1919)의 의의
1. 무단통치 ⇒ 문화 통치 변화
2. 1920년대 농민과 노동자들이 항일운동의 중심이 됨
3. 1920년대 항일 무장 투쟁 활성화
4. 대한민국 임시정부 출범
70회 36번
Key★_토지 조사 사업 / 무단통치(1910's)
① 애국반을 조직하였다.
- 민족 말살 통치기 입니다.(1938)
② 신문지법을 제정하였다.
- 신문지법으로 민족 언론을 탄압했습니다.(1907)
(정답) ③ 조선 태형령을 시행하였다.
- 맞습니다. 헌병경찰제, 태형령, 토지 조사 사업, 회사령 !!
④ 산미 증식 계획을 실시하였다.
- 문화 통치기에 시작되었습니다.(1920~1934)
⑤ 황국 신민 서사의 암송을 강요하였다.
- 민족 말살 통치기 입니다.(1937)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무단통치(1910년대)
헌병경찰제, 태형령, 토지 조사 사업, 회사령, 교육 차별
등의 키워드를 꼭 숙지해 두세요:)
70회 37번
Key★_나철, 단군 신앙 / 대종교
① 개벽, 신여성 등의 잡지를 발간하였다.
- 천도교 입니다.
② 한용운 등이 사찰령 폐지를 주장하였다.
- 한용운 등은 조선 불교 유신회를 조직했습니다.
③ 박중빈을 중심으로 새생활 운동을 펼쳤다.
- 원불교 입니다.
④ 김창숙의 주도로 파리 장서 운동을 전개하였다.
- 생소할 수 있는데요! 유림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유림은 '유교'의 가르침을 따른 무리를 뜻합니다.
(정답) ⑤ 무장 투쟁을 전개하기 위해 중광단을 조직하였다.
- 맞습니다. 중광단(대종교) 입니다. 이후 북로 군정서가 됩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대종교
1. 천도교(동학): <개벽>, <어린이>, <신여성>, 제 2의 3·1운동 계획
2. 천주교: 의민단(청산리전투 참여)
3. 대종교: 단군 숭배, 중광단(⇒북로군정서)
4. 원불교: 불교의 대중화, 새생활 운동
5. 기독교: 일부 신사참배 거부
70회 38번
Key★_1920년대 국외 민족 운동
(가) 간도 참변(1920) / 봉오동·청산리 전투의 보복
(나) 자유시 참변(1921) / 군 지휘권을 둘러싼 갈등
(다) 미쓰야 협정(1925) / 일본과 만주 군벌과의 협정(독립군 색출)
따라서, 정답은 ①번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1920년대 국외 민족 운동
1. 국내 항일 무장 투쟁: 천마산대, 구월산대, 보합단
2. 봉오동 전투(1920.6)
3. 훈춘사건(1920.10)
4. 청산리 전투(1920.10) - 백운평전투, 어랑촌전투, 완루구전투
5. 간도참변(경신참변.1920)
6. 대한 독립 군단(1920)
7. 자유시 참변(1921.6.27.)
※ 일본 – 관동대지진(1923) ⇒ 조선인 대학살
8. 3부의 성립: 군사조직·행정제도를 갖춘 자치 단체 결성
9. 미쓰야협정(1925): 조선총독부와 만주군벌 간에 체결 ⇒ 독립군의 활동 위축
10. 3부 통합운동
1) 배경 : 신간회(1927) 결성, 좌·우 합작 분위기 형성
2) 혁신의회(북만주) : 이후 한국 독립당으로 개편, 한국 독립군 편성
3) 국민부(남만주) : 이후 조선 혁명당 창설, 조선 혁명군 편성
70회 39번
Key★_아리랑, 나운규 / 1920년대
① 관민 공동회에서 연설하는 백정
- 독립 협회의 활동입니다.(1898)
② 교육 입국 조서를 발표하는 관리
- 제2차 갑오개혁(1895) 입니다.
③ 원각사에서 은세계 공연을 보는 관객
- 한국 최초의 서양식 극장이 원각사 입니다.(1908)
④ 전차 개통식에 참여하는 한성 전기 회사 직원
- 한성 전기 회사는 1898년에 설치됩니다.
(정답) ⑤ 카프(KAPF)를 형성하여 활동하는 신경향파 작가
- 1920년대 후반 사회주의의 영향으로 신경향파가 등장했습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1920년대
1920년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키워드를 꼼꼼하게 체크하세요:)
1. 원각사(1908) : <은세계>, <치악산>
2. 토월회(1923) : 극단, 나운규-<아리랑>.1926
3. 극예술연구회(1931) : 유치진-<토막>
70회 40번
Key★_중일전쟁 이후, 국민학교 / 민족 말살 통치(1930's)
① 회사령을 공포하였다.
- 무단통치(1910's) 입니다.
② 치안 유지법을 제정하였다.
- 문화통치(1920's) 입니다.
③ 헌병 경찰제를 실시하였다.
- 무단통치(1910's) 입니다.
④ 경성 제국 대학을 설립하였다.
- 문화통치(1920's) 입니다.
(정답) ⑤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을 시행하였다.
- 맞습니다. 1941년에 발표했습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민족 말살 통치(1930's)
1. 목적: 한국인의 민족의식을 말살하여 일본인으로 동화 ⇒ 침략 전쟁에 쉽게 동원하고자 함
2. 시기: 중·일전쟁(1937) 이후 본격화
3. 내용
1) 조선 사상범 보호 관찰령(1936) : 치안유지법 강화, 반체제 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일제가 만든 법
2) 내선일체(한국인과 일본인은 하나다), 일선동조론
3) 황국 신민화 정책: 한국 민족의 문화·역사 말살 ⇒ 일본 신민으로의 정체성
4) 황국 신민 서사 암송, 신사 참배, 궁성 요배, 일본식 성명 강요(창시개명.1939~) 등
5) 조선일보·동아일보 폐간(1940)
6) 조선어 교육 금지 ⇒ 조선어 학회 사건(1942)
7) 3차 조선 교육령(1938) : 조선어 수의(선택) 과목 ⇒ 실질적으로 폐지
8) 초등학교령(1941) : 심상소학교 ⇒ 황국신민학교
벌써 70회도 끝이 보이네요!!
블로그를 쉬는 동안 자꾸만
'블로그 해야하는데...' 라며 마음이 쓰였는데..
역시 뭐든 시작하고 봐야하는 것 같아요!ㅎㅎ
다음 포스팅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70회 해설(41번~50번)
이어서 풀이하도록 하겠습니다^^
끝까지 화이팅!! +_+

*문제에 대한 저작권은 '국사편찬위원회'에 있습니다.
*문항 사진 등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해설에 오류가 있을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기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번~1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71회 심화 해설(한능검 71회) feat. 한능검기출 (9) | 2024.09.30 |
---|---|
[41번~5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70회 심화 해설(한능검 70회) feat. 한능검기출 (9) | 2024.09.29 |
[21번~3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70회 심화 해설(한능검 70회) feat. 한능검기출 (13) | 2024.09.27 |
[11번~2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70회 심화 해설(한능검 70회) feat. 한능검기출 (6) | 2024.09.26 |
[1번~1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70회 심화 해설(한능검 70회) feat. 한능검기출 (7) | 202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