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번~4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8회 심화 해설(한능검 58회) feat. 한능검기출
[31번~4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8회 심화 해설(한능검 58회)feat. 한능검기출
안녕하세요:)
역사 블로그 '토요히스토리' 입니다.
요즘 날씨가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여름이 조금만 천천히 왔으면 좋겠네요ㅎㅎ
그럼 오늘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8회 해설(31번~40번)
시작해 보도록 할게요^^

58회 31번
Key★_박승환, 자결 / 한일 신협약(정미 7조약)
(정답) ① 정미 7조약이 체결되었다.
- 맞습니다. 대한제국의 군대가 강제 해산되자 자결하였습니다.
② 일제가 105인 사건을 조작하였다.
- 신민회가 해체되는 계기가 됩니다.(1911)
③ 초대 총독으로 데라우치가 부임하였다.
- 한일 병합 조약(1910) 입니다.
④ 기유각서가 일제의 강압에 의해 조인되었습니다.
- 이로 인해 사법권이 박탈당했습니다.(1909)
⑤ 일진회가 한일 합방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 이토 히로부미가 사살되고, 일제는 일진회에게 발표하게 했습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한일 신협약(정미 7조약)
1. 영국 거문도 불법 점령(1885) ⇒ 유길준, 부들러(독)의 중립화정책
2. 국외 중립 선언 : 러·일전쟁 직전에 국외 중립 선언
3. 러·일 전쟁(1904)
4. 한·일 의정서(1904)
1) 군용지를 마음껏 사용할 수 있게 허용
2) 대한제국이 외국과 조약을 맺을 때 일본과 상호 승인을 거쳐야 함
5. 대한 시설 강령(1904) ⇒ 6개항
1) 일본인들을 조선에 대거 이주
2) 재정·외교·철도·전신 장악
⇒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 보안회·농광회사의 반대 ⇒ 일본의 요구 저지
6. 1차 한·일 협약 ⇒ 고문정치 시작
1) 고문정치 : 외교(스티븐스), 재정(메가타)
2) 대한제국이 외국과 조약을 맺을 때 일본과 상호 승인을 거쳐야 함
7. 러·일전쟁의 승리 직전(열강과의 조약)
1) 가쓰라·태프트 밀약(미국-일본) : 미국(필리핀)-일본(조선) 지배 합의
2) 2차 영·일 동맹(영국-일본) : 영국(인도)-일본(조선) 지배 합의
3) 포츠머스조약(러시아-일본) : 러시아가 조선으로부터 철수 & 영향력 행사X
8. 2차 한·일 협약(을사늑약. 1905) ⇒ 통감정치 시작
1) 통감정치 ⇒ 통감부 설치
2) 외교권 박탈 : 조약을 체결할 때 일본의 중개를 거친다
9. 헤이그 특사 파견(1907)
1) 1907년 만국평화회의에 헤이그 특사 파견(이준, 이위종, 이상설)
2) 고종(광무) 강제퇴위 ⇒ 순종(융희) 즉위
10. 한·일 신협약(정미 7조약. 1907) ⇒ 한·일 신협약 시작
1) 통감 권한 강화 : 차관 임명 권한 소유
2) 군대(시위대, 진위대) 해산
11. 기유각서(1909)
1) 일본의 사법권 소유
※ 외교권 ⇒ 행정권 ⇒ 군사권 ⇒ 사법권 강탈
12. 한·일 병합(경술국치. 1910)
58회 32번
Key★_태양력이 도입 / 을미개혁(1895)
① 지계아문을 설립하였다.
- 광무개혁의 내용입니다.
② 대한국 국제를 반포하였다.
- 고종은 대한 제국을 선포하고 광무개혁을 실시했습니다.
(정답) ③ 건양이라는 연호를 제정하였다.
- 맞습니다. 을미개혁 입니다.
④ 개혁 추진 기구로 교정청을 설치하였다.
- 동학 농민 운동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⑤ 군제를 개편하여 5군영을 2영으로 통합하였다.
- 1880년대 초반 정부의 개혁 정책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을미개혁(1895)
1. 정치
1) 연호 : 개국기년 ⇒ 건양
2) 군사
(1) 친위대(중앙군) + 진위대(지방군) 창설
(2) 시위대는 훈련대에 편입, 아관파천 때 부활(왕실 호위적 성격)
2. 사회
1) 단발령 시행
2) 태양력 시행(음력⇒양력)
3) 종두법(천연두 예방) 시행, 소학교 설치, 우편업무 재개
58회 33번
Key★_갤릭호, 사탕수수 농장 / 미주 지역(하와이)
① 대종교 계열의 중광단이 결성되었다.
- 북간도 지역입니다.
② 권업회가 조직되어 권업신문을 창간하였다.
- 연해주 지역입니다.
③ 사회주의 계열의 한인 사회당이 조직되었다.
- 연해주 지역입니다.
④ 독립군 양성을 위한 신흥 무관 학교가 설립되었다.
- 서간도 지역입니다.
(정답) ⑤ 대조선 국민군단이 조직되어 무장 투쟁을 준비하였다.
- 맞습니다. 미주 지역(하와이)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미주 지역 독립 운동
1. 대한인국민회
1) 장인환·전명운의 스티븐스 암살 사건을 계기로 형성
2) 미주 지역 최대 규모의 독립운동 단체로 성장
2. 이승만(구미위원회), 박용만(하와이, 대조선국민군단-군사훈련 전개), 안창호(흥사단)
58회 34번
Key★_조선인을 기만, 문화적 정치 / 문화통치(1920년대)
(정답) ① 3·1 운동이 전국적으로 전개되었다.
- 맞습니다. 3·1 운동을 계기로 문화통치가 시작되었습니다.
②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이 시행되었다.
- 민족 말살 통치 시기입니다.(1941)
③ 브나로드 운동이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추진되었다.
- 1930년대 대표적인 농촌 계몽 운동입니다.
④ 조선 노동 총동맹과 조선 농민 총동맹이 설립되었다.
- 1920년대 입니다.
⑤ 내선일체를 강조한 황국 신민 서사의 암송이 강요되었다.
- 민족 말살 통치 시기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문화통치(1920년대)
치안유지법(1925)을 꼭 기억해 두세요:)
58회 35번
Key★_(가) 국무령에 이상룡이 취임하다(1925)
(나) 대일 선전 성명서를 발표하다(1941)
(다) 창사에서 광저우로 청사를 이전하다(1937)
(가) - (다) - (나)
따라서, 답은 ②번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대한민국 임시 정부 체제
1) 1925. 국무령 체제(의원내각제) : 이승만 탄핵, 대통령(박은식)
2) 1927. 국무위원 체제(집단 지도 체제)
3) 1932. 한인애국단 창설 : 이봉창, 윤봉길 의거 ⇒ 중국 국민당의 지원
4) 1935. 한국국민당 창설
5) 1940. 주석(김구)제 체제, 한국독립당, 한국광복군 창설
6) 1941. 건국강령 : 조소앙의 삼균주의
7) 1942. 김원봉의 조선 의용대 일부 합류
8) 1944. 주석(김구)·부주석(김규식)체제
58회 36번
Key★_곽재기, 이성우, 김원봉과 함께 조직 / 의열단
(정답) ① 조선 혁명 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삼았다.
- 맞습니다. 신채호가 작성했습니다.
②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저지하였다.
- 보안회(1904) 입니다.
③ 복벽주의를 내세우며 의병 전쟁을 준비하였다.
- 독립 의군부(1912) 입니다.
④ 삼균주의를 기초로 하는 건국 강령을 발표하였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입니다.
⑤ 단원인 이봉창이 일왕의 행렬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 한인 애국단으로, 1932년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의열단
1. 김원봉 등이 결성(1919): 무정부주의(아나키즘) 지향
※ 무정부주의: 일체의 정치권력이나 공공적 강제의 필요성을 부정하고 개인의 자유를 최상의 가치로 내세우려는 사상
2. ‘조선 혁명 선언’(신채호)을 지침으로 활동: 민중과 함께 폭력으로 싸워야 한다!
3. 활동 내용
1) 김익상: 조선 총독부에 폭탄 투척
2) 김상옥: 종로 경찰서에 폭탄 투척
3) 나석주: 식산은행, 동양척식주식회사에 폭탄 투척
4) 김지섭 : 일본 궁성에 폭탄 투척
4. 개편: 개별 투쟁에 한계를 느끼고 군사조직으로 귀결!!
1) 황포군관학교 입교(1925)
2) 조선 혁명 간부학교(1932) 설립
3) 민족혁명당(1935) 조직
4) 군사조직(조선의용대.1938): 중국관내 최초 조선인 군사조직
58회 37번
Key★_국민 징용령이 공포된 이후의 시기 / 민족 말살 통치기
(정답) ① 애국반을 조직하여 한국인의 생활을 통제하였다.
- 맞습니다. 민족 말살 통치기 입니다.(1938)
② 강압적 통치를 목적으로 헌병 경찰 제도를 실시하였다.
- 무단 통치(1910년대) 입니다.
③ 사회주의자를 탄압하기 위한 치안 유지법을 제정하였다.
- 문화 통치(1920년대) 입니다.
④ 회사 설립 시 총독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회사령을 공포하였다.
- 무단 통치(1910년대) 입니다.
⑤ 근대적 토지 소유권 확립을 명분으로 토지 조사 사업을 시행하였다.
- 무단 통치(1910년대)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민족 말살 통치
1. 목적: 한국인의 민족의식을 말살하여 일본인으로 동화 ⇒ 침략 전쟁에 쉽게 동원하고자 함
2. 시기: 중·일전쟁(1937) 이후 본격화
3. 내용
1) 조선 사상범 보호 관찰령(1936): 치안유지법 강화, 반체제 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일제가 만든 법
2) 내선일체(한국인과 일본인은 하나다), 일선동조론
3) 황국 신민화 정책: 한국 민족의 문화·역사 말살 ⇒ 일본 신민으로의 정체성
4) 황국 신민 서사 암송, 신사 참배, 궁성 요배, 일본식 성명 강요(창시개명.1939~) 등
5) 조선일보·동아일보 폐간(1940)
6) 조선어 교육 금지 ⇒ 조선어 학회 사건(1942)
7) 3차 조선 교육령(1938): 조선어 수의(선택) 과목 ⇒ 실질적으로 폐지
8) 초등학교령(1941): 심상소학교 ⇒ 황국신민학교
58회 38번
Key★_지청천을 총사령관으로 하여, 충칭에서 창립 / 한국 광복군
① 영릉가 전투에서 일본군에게 승리하였다.
- 조선 혁명군 입니다.
② 중국 팔로군에 편제되어 항일 전선에 참여하였다.
- 조선 의용대 화북지대입니다.
(정답) ③ 국내 정진군을 편성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추진하였다.
- 맞습니다. 한국 광복군 입니다.
④ 중국 관내에서 결성된 최초의 한인 무장 부대이다.
- 조선 의용대 입니다.
⑤ 간도 참변 이후 밀산에서 집결하여 자유시로 이동하였다.
- 서일의 대한 독립 군단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한국 광복군
1. 대한민국 임시정부[재정비] in 충칭
1) 한국독립당 : 김구 + 지청천 + 조소앙이 결성
2) 한국광복군 창설(1940), 대일 선전 포고
(1) 총사령관 지청천 ⇒ 인도와 미얀마 전선에 파견(1943), 미국 정보국(OSS)와 함께 국내 진공 작전 계획
3) 건국 강령 공포(1941)
(1) 보통 선거를 통한 민주 공화국 수립
(2) 조소앙의 삼균주의
① 개인간 균등 : 정치·경제·교육의 균등
② 민족간 균등 : 자결주의
③ 국가간 균등 : 불가침
58회 39번
Key★_민족 자결 원칙, 남북 정치 협상 / 남북 협상
① 허정 과도 정부에서 헌법이 개정되었다.
- 4.19 혁명(1960) 이후 입니다.
②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대통령이 선출되었다.
- 박정희 정부의 유신 체제 입니다.
(정답) ③ 유엔 소총회에서 남한만의 단독 총선거가 결의되었다.
- 맞습니다. 이후 김구가 남북 협상을 추진합니다.
④ 유상 매수, 유상 분배 원칙의 농지 개혁법이 제저되었다.
- 이승만 정부 입니다.
⑤ 국가 보안법 개정안을 통과시킨 보안법 파동이 일어났다.
- 이승만 정부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남북 협상
1. 유엔 단독 선거 결정
2. 제 2차 미·소 공동위원회 휴회
3. 유엔 총회에서 남북한 총선거 실시 결의(1947.11)
4. 소련의 총선 거부: UN 한국 임시 위원단의 입국 거부
5. 유엔 소총회(1948.2)에서 남한 단독 선거 실시 결정
6. 남북 협상(1948.4)
1) 김구·김규식의 방북: 통일 정부 수립 노력
2) 남북 협상 공동 성명 발표: 단독 정부 수립 반대, 외국 군대 즉시 철수
3) 결과: 남북한 각각의 정부 수립, 김구 암살 ⇒ 통일 정부 수립 노력 좌절
58회 40번
Key★_(가) 태평양 지역 방위선 / 애치슨 선언(1950.1)
(나) 상호적 합의, 미합중국은 수락 / 한미 상호 방위 조약(1953.10)
① 좌우 합작 위원회가 출범하였다.
- 좌우 합작 위원회는 1946년에 수립하였습니다.
② 여수 순천 10·19 사건이 일어났다.
- (가) 이전입니다.(1948)
③ 미국 의회에서 트루먼 독트린이 발표되었다.
- 냉전 체제가 형성되었습니다.(1947)
④ 베트남 파병에 관한 브라운 각서가 체결되었다.
- 박정희 정부 시기입니다. 브라운 각서(1966)!
(정답) ⑤ 거제도 포로 수용소에 있던 반공 포로가 석방되었습니다.
- 이승만 정부는 휴전 협상 진행에 반대하며 반공 포로를 석방했습니다.(1953.6)
핵심 내용 정리(Keyword)_6·25 전쟁
1. 북한군의 남침(1950.6.25.)
2. 북한군 서울 점령
3. 유엔군의 참전(1950.7.1.)과 낙동강 방어선 구축
4. 맥아더의 인천 상륙 작전(1950.9.15.)
5. 서울 수복(1950.9.28./1951.3.14.)
6. 중국군 개입(1950.10.25.)
7. 유엔군의 후퇴와 흥남 철수 작전
8. 서울 함락(1·4 후퇴)
9. 서울 재탈환(1951.3.14.)
10. 38도선 부근에서 전선 고착화, 휴전 협상, 휴전 협정 체결(1953.7.27.)
⇒ 포로문제 : 미국(자유송환), 소련(자동송환), 이승만의 반공포로 석방(1953)
※ 자유송환(포로에게 가고 싶은 국가를 선택), 자동송환(포로가 국적을 둔 국가로 송환)
※ 이승만의 반공포로 석방
Q1 : 반공포로는 무엇인가요?
⇒ A1 : 반공포로는 공산당에 반대하는 포로들입니다. 주로 남한에서 징집된 의용군이거나 북한 체제, 정권에 반발하던 이들을 말합니다.
Q2 : 이승만은 왜 반공포로를 석방했나요?
⇒ A2 : 이승만은 협상에 의한 휴전이 아닌!! 북진통일을 원했습니다. 그렇게 많은 희생을 치뤘는데 전쟁 전의 상황과 똑같은건 이승만 입장에서 말도 안되는 것이었습니다. 미국이 좀 더 지원해주면 남한의 승리로 끝날 수 있다고 예상했거든요. 하지만, 미국과 소련은 남한의 의견을 무시한채 휴전협상을 맺으려 했고, 포로 교환문제까지 오게 된 겁니다. 포로 교환까지 성사되면 거의 휴전이라고 볼 수 밖에 없거든요! 이러한 상황에서 남한에 있던 반공포로들을 석방하여 남한에 머물게 함으로써 포로 협상에 재를 뿌려버린 것이죠.. 어떻게든 휴전을 막으려했던 이승만의 의지가 보인 사건이었습니다.
Q3 : 반공포로를 석방했다는 말이 잘 이해가 되질 않아요!
⇒ A3 : 말 그대로 석방한 것입니다. 포로수용소 문을 열고 가고 싶은 곳으로 가라고 보내준 겁니다. 사실 반공포로는 대부분 북한군이 남한을 점령했을 때 그 지역의 사람들을 북한군들이 ‘의용군’으로 징집한 사람들이었습니다. 집도 가족도 다 남한에 있구요!! 이들이 석방되자 각자의 집(남한)으로 간 것입니다. 만약 석방되지 않았다면, 판문점 협상에 따라 북한으로 자동소환 되었을 것입니다.
다음 포스팅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8회 해설(41번~50번)
이어서 풀이하도록 하겠습니다^^
점점 끝이 보이네요~~!!
꾸준하게 달려보겠습니다. +_+

*문제에 대한 저작권은 '국사편찬위원회'에 있습니다.
*문항 사진 등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해설에 오류가 있을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