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기출풀이

[1번~1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7회 심화 해설(한능검 57회) feat. 한능검기출

토요히스토리 2025. 4. 28. 23:33
반응형

[1번~1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7회 심화 해설(한능검 57회)feat. 한능검기출

 

제57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심화)
 합격률 : 64.9%
 전근대: 선사(3문제/6%), 고대(6문제/12%), 고려(7문제/14%), 조선(11문제/22%)
근현대:근대(9문제/18%), 일제강점기(6문제/12%), 현대(4문제/8%),종합(4문제/8%)

 

안녕하세요:)

역사 블로그 '토요히스토리' 입니다.

2022년도의 첫 번째 시험이었습니다.

합격률이 무려 64.9%!!

굉장히 쉬운 편에 속했던 회차였습니다.

 

오늘도 힘차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7회 해설(1번~10번)

시작해 보도록 할게요^^

57회 1번

Key★_고인돌, 사유 재산과 계급이 발생 / 청동기 시대

①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었다.

- 우경의 일반화는 고려 시대입니다.

②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

- 구석기 시대입니다.

(정답) ③ 반달 돌칼을 사용하여 곡식을 수확하였다.

- 맞습니다. 청동기 시대입니다.

④ 실을 뽑기 위해 가락바퀴를 처음 사용하였다.

- 신석기 시대입니다.

⑤ 주먹도끼, 찍개 등의 뗀석기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 구석기 시대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청동기 시대

1. 시기 : B.C 20C~15C년경 랴오닝, 만주, 한반도 일대

2. 도구

1) 청동기 :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2) 간석기 : 반달 돌칼 등 농기구

3) 토기 : 민무늬 토기, 미송리식 토기

3. 경제 : 벼농사 시작, 농경 발달 ⇒ 사유 재산 개념 발생

4. 생활 : 배산임수의 구릉지에 취락 형성, 움집(지상 가옥화, 직사각형 바닥, 화덕⇒구석)

5. 사회 : 사유 재산(빈부 격차 발생)과 계급 발생(족장 출현)

6. 무덤 : 고인돌(탁자식, 바둑판식) ⇒ 당시 지배층의 권력/경제력 반영, 돌널무덤

 

57회 2번

Key★_우리 역사상 최초의 국가 / 고조선

① 백제와 연합하여 금성을 공격하였다.

- 왜 입니다. 내물왕은 광개토왕에게 지원을 요청합니다.

② 마립간이라는 왕의 칭호를 사용하였다.

- 내물왕(신라) 입니다.

③ 빈민을 구제하기 위해 진대법을 실시하였다.

- 고국천왕(고구려) 입니다. 을파소의 건의를 수용하여 실시합니다.

④ 목지국을 압도하고 지역의 맹주로 발돋움하였다.

- 고이왕(백제) 입니다.

(정답) ⑤ 살인, 절도 등의 죄를 다스리는 범금 8조가 있었다.

- 맞습니다. 고조선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고조선

1. 단군조선

1) 건국 : 청동기를 바탕으로 단군왕검이 건국(BC 2333), 제정일치 사회

2) 단군신화 : 농경 사회, 선민사상(스스로 하늘의 자손이라 여김), 홍익인간, 토테미즘

3) 기록 : <삼국유사>, <제왕운기>, <동국통감>

4) 영역 : 랴오닝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 → 한반도 북부까지 세력 확대(비파형 동검, 고인돌 분포 영역)

5) 성장 : 기원전 3세기경 왕위 세습, 관직 마련(상, 대부, 장군), 연과 대립

6) 사회 : 8조법(개인의 생명과 노동력 중시, 사유재산 중시, 계급 사회 반영), 가부장적 제도

2. 위만조선(기원전 194)

1) 배경 : 진․한 교체기에 망명한 위만이 준왕을 몰아내고 즉위

2) 발전 : 철기 문화 적극 수용, 한(漢)과 진(辰) 사이에서 중계 무역

3) 멸망(기원전 108) : 한 무제의 침입으로 왕검성 함락, 한 군현 설치

4) 사회 변동 : 한 군현에 토착민들이 저항 → 법 조항 증가(8조 → 60여 조)

 

57회 3번

Key★_(가) 상가, 고추가, 동맹 / 고구려

(나) 산천을 중요시, 10월, 무천 / 동예

① (가) - 낙랑과 왜에 철을 수출하였다.

- 변한 입니다.

(정답) ② (가) - 서옥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 맞습니다. 고구려 입니다.

③ (나) - 연의 장수 진개의 공격을 받았다.

- 고조선 입니다.

④ (나) - 가(加)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다스렸다.

- 부여 입니다.

⑤ (가), (나) - 골품에 따라 관등 승진에 제한이 있었다.

- 신라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고구려

1) 정치 : 5부족 연맹체, 제가회의

2) 경제 : 약탈경제

3) 사회 : 동맹(10月), 형사취수제, 서옥제, 1책 12법

 

57회 4번

Key★_삼산관, 불상, 일본 교토 고류사의 불상 /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①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 입상 / 신라

(정답) ②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 삼국시대

③ 이불병좌상 / 발해

④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 고구려

⑤ 하남 하사창동 철조 석가여래 좌상 / 고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불상

본 블로그의 이론정리(불상) 편을 참고해 주세요^^

 

57회 5번

Key★_양나라에 보내는, 남조의 영향, 벽돌로 축조 / 무령왕(백제)

① 익산에 미륵사를 창건하였다.

- 무왕(백제) 입니다.

② 사비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고쳤다.

- 성왕(백제) 입니다.

(정답) ③ 지방에 22담로를 두어 왕족을 파견하였다.

- 맞습니다. 무령왕(백제) 입니다.

④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

- 근초고왕(백제) 입니다.

⑤ 동진에서 온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였다.

- 침류왕(백제)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무령왕(백제)

1) 지방에 22담로 설치 : 지방 통제 강화

2) 양(중국 남조)과 교류 : 무령왕릉

 

57회 6번

Key★_당에서 귀국, 시무책 10여조를 진성 여왕에게 / 최치원

① 유식의 교의를 담은 해심밀경소를 저술하였다.

- 원측(통일 신라) 입니다.

② 외교 문서 작성에 능하여 청방인문표를 작성하였다.

- 강수(통일 신라) 입니다.

③ 한자의 음훈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이두를 정리하였다.

- 설총(통일 신라) 입니다.

(정답) ④ 신라 말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해인사 묘길상탑기를 남겼다.

- 맞습니다. 최치원(통일 신라) 입니다

⑤ 종파 간의 사상적 대립을 해소하기 위해 십문화쟁론을 지었다.

- 원효(통일 신라)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최치원

1. 신라 말의 사회 동요 : 혜공왕 이후 약 150년간 왕 20명 교체

1) 신라 말 혼란

(1) 지방세력의 반란 : 김헌창의 난(822), 장보고의 난(846)

(2) 농민 반란 : 원종과 애노의 난(889)

2) 호족 세력의 성장

(1) 호족 : 지방 행정권과 군사권 장악

(2) 6두품 : 새로운 정치 이념 제시, 지방 호족 세력과 연계, 골품제 비판 ex) 최치원

3) 새로운 사상 : 선종(개인의 정신 수양 강조), 풍수지리설(경주 중심 탈피), 유교(6두품 정치이념)

⇒ 지방 호족의 사상적 기반 형성

 

57회 7번

Key★_(가) 백제의 대야성 공격(643)

(나) 의자왕, 소정방 / 백제 멸망(660)

(다) 흑치상지, 복신 / 백제 부흥 운동(660~663)

(가) - (나) - (다)

 

따라서, 정답은 ①번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백제의 멸망(660)

1) 황산벌 전투(패배) ⇒ 나․당 연합군의 공격을 받아 사비성 함락(660)

2) 부흥운동 : 주류성(복신·도침), 임존성(흑치상지)

3) 왜의 지원군 파견(백강전투) ⇒ 실패

 

57회 8번

Key★_9주, 서원소경, 남원소경 / 신문왕(통일신라)

① 금관가야가 멸망하였다.

- 법흥왕(신라) 때 금관가야를 복속합니다.

② 이사부가 우산국을 복속하였다.

- 지증왕(신라) 시기입니다.

③ 조세를 관장하는 품주가 설치되었다. 

- 진흥왕(신라) 시기입니다.

(정답) ④ 관료전이 지급되고 녹읍이 폐지되었다.

- 맞습니다. 신문왕(통일신라) 입니다.

⑤ 인재 등용을 위한 독서삼품과가 실시되었다.

- 원성왕(통일신라)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신문왕(통일신라)

1) 왕권 전제화 : 김흠돌의 반란 진압 ⇒ 진골 귀족 세력 숙청

2) 국왕 중심 정치

(1) 집사부(왕의 명령을 집행, 기밀 업무 담당) 장관인 시중의 기능 강화

(2) 화백회의·상대등 약화

3) 관료 양성 : 국학 설립, 6두품 진출(정치적 조언, 행정실무 담당)

4) 통치 체제 정비 : 9주 5소경(지방 행정 조직 완비)

5) 귀족 특권 제한 : 관료전(조세+공납) 지급, 녹읍(조세+공납+노동력) 폐지

 

57회 9번

Key★_선조성, 중대성, 정당성 / 발해

(정답) ① 교육 기관으로 주자감을 두었다.

- 맞습니다. 주자감은 발해의 교육 기관 입니다.

② 신라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였다.

- 광개토왕(고구려) 입니다.

③ 9서당 10정의 군사 조직을 갖추었다.

- 신문왕(통일신라) 시기입니다.

④ 개국, 태창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 진흥왕(신라) 입니다.

⑤ 왕족인 부여씨와 8성의 귀족이 지배층을 이루었다.

- 백제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발해의 중앙 정치 제도

1) 중앙

(1) 36부제(당의 제도 수용, 명칭과 운영은 독자적) → 정당성의 대내상이 국정 총괄

※ 3성: 정당성(6부 관리), 선조성, 중대성 / 중정대(감찰), 문적원(서적,외교), 주자감(교육)

(2) 6부(충,인,의,지,예,신) 명칭에 유교 이념 반영, 주자감 설립(유교 교육)

※ 좌사정(충부,인부,의부) / 우사정(지부,예부,신부)

2) 지방: 5경(요충지) 15부(지방행정 중심) 62주 설치

3) 군사: 10위(중앙군), 지방군

 

57회 10번

Key★_연호 정개, 완산주에 나라를 세운 / 견훤

(정답) ① 공산 전투에서 고려군을 크게 무찔렀다.

- 맞습니다. 신라를 지원하러 온 고려군을 크게 무찔렀습니다.

② 귀순한 김순식에게 왕시 성을 하사하였다.

- 태조 왕건 입니다.

③ 폐정 개혁을 목표로 정치도감을 설치하였다.

- 원간섭기에 충목왕 입니다.

④ 청해진을 근거지로 해상 무역을 전개하였다.

- 장보고(통일신라) 입니다.

⑤ 광평성을 설치하고 광치나, 서사 등의 관원을 두었다.

- 궁예(후고구려)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견훤의 후백제

1. 후고구려

1) 궁예 : 송악에 도읍(901) ⇒ 국호(마진⇒태봉), 철원 천도

2) 왕건의 정권 장악 : 송악에 도읍

2. 후백제

1) 견훤 : 완산주에 도읍(900)

2) 충청도와 전라도 일대 장악

3. 고려의 건국(918)

1) 국내외적 상황 : 후삼국 성립, 중국(5대 10국), 북방 거란의 성장

2) 왕건 : 해상 무역으로 성장한 호족

3) 건국 : 고구려 계승, 국호(고려), 송악으로 천도

4) 민족의 재통일(936)

(1) 통일 정책 : 호족 세력 통합, 신라에 우호적, 중국 5대와 교류

(2) 후삼국 통일 : 신라 병합(경순왕 항복), 후백제 격파(견훤의 귀순), 발해 유민(대광현) 포섭

 

다음 포스팅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7회 해설(11번~20번)

이어서 풀이하도록 하겠습니다^^

기출은 계속 반복됩니다.

꾸준하게 달려보겠습니다. +_+

 

*문제에 대한 저작권은 '국사편찬위원회'에 있습니다.

*문항 사진 등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해설에 오류가 있을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