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번~4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65회 심화 해설(한능검 65회) feat. 한능검기출
[31번~4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65회 심화 해설(한능검 65회) feat. 한능검기출
안녕하세요:)
역사 블로그 '토요히스토리' 입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65회 해설(31번~40번)
이어서 바로 들어가 볼게요^^
오늘도 화이팅!!

65회 31번
Key★_(가)보은집회(1893)-척왜양창의
(나)황토현 전투(1894.4)
① 논산으로 남접과 북접이 집결하였다.
② 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교정청이 설치되었다.
③ 일본이 군대를 동원하여 경복궁을 점령하였다.
(정답) ④ 고부 농민들이 조병갑의 탐학에 맞서 만석보를 파괴하였다.
⑤ 공주 우금치에서 농민군이 관군과 일본군에게 패배하였다.
- ①, ②, ③, ⑤번은 모두 황토현 전투 이후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동학 농민 운동
삼례·보은 집회 ⇒ 고부 관아 점령(전봉준 등) ⇒ 황토현 전투(승리)
⇒ 황룡촌 전투(승리) ⇒ 전주성 점령 ⇒ 청·일 군대 상륙(톈진조약)
⇒ 전주 화약 체결(집강소 설치) ⇒ 청·일 전쟁 발생
⇒ 2차 봉기 ⇒ 우금치 전투(패배)
* 순서는 꼭 기억해 두세요!!
65회 32번
Key★_한국인 3명, 평화 회의, 네덜란드
/ 헤이그 특사(1907)
- 따라서 정답은 ⑤번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일제의 국권 침탈(순서)
1. 러·일 전쟁(1904.2)
2. 한·일 의정서(1904.2)
- 일본이 한국 내 군사적 요충지 사용권 확보 및 시설 점령
3. 제 1차 한·일 협약(1904.8)
- 외교(스티븐스)·재정(메가타) 고문 파견⇒고문정치(간섭)
<일본의 한국 지배에 대한 열강의 인정>
1. 가쓰라·태프트 밀약(미국-영국) : 미국(필리핀)-일본(조선) 지배 인정
2. 제 2차 영·일 동맹 : 영국(인도)-일본(조선) 지배 인정
3. 포츠머스 강화 조약: 러시아(철수)-일본(조선) 지배 인정
4. 제 2차 한·일 협약(을사늑약/1905.11)
-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초대 통감 : 이토 히로부미)
5. 헤이그 특사 파견
- 일제의 침략성을 국제 사회에 알리고자 함
(특사 : 이상설, 이준, 이위종)
6. 한·일 신협약(정미7조약/1907.7)
- 행정 각 부에 일본인 차관 임명(차관 정치), 대한제국 군대 해산
7. 한·일 병합 조약(경술국치/1910.8)
65회 33번
Key★_이인영, 허위, 서울로 진공 / 정미의병(1907)
① 조선 혁명 선언을 지침으로 삼았다.
- 김원봉이 결성한 의열단 입니다.
② 이만손이 주도하여 영남 만인소를 올렸다.
- 1880년대 위정척사운동 입니다.
③ 상덕태상회를 통하여 군자금을 모집하였다.
- 박상진의 대한 광복회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④ 일본에 국권 반환 요구서를 제출하고자 하였다.
- 임병찬이 조직한 독립 의군부 입니다.
(정답) ⑤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군대 해산에 반발하여 결성되었다.
- 정미의병은 해산된 군인이 참여하였습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정미의병(1907)
1. 배경: 고종 강제 퇴위, 대한 제국의 군대 해산
2. 특징: 해산 군인의 합류로 의병의 전투력이 강화, 의병 연합 부대 결성
3. 의병 연합 부대 결성(1907): 13도 창의군(총대장:이인영, 군사장:허위)
4. 서울진공작전(1907): 각국 영사관에 의병을 국제법상 교전 단체로 인정해 줄 것을 요청
65회 34번
Key★_러시아 공사관, 환궁 이후 / 광무개혁
① 영선사가 파견되었다.
- 1880년대 초 정부의 개혁 정책입니다.
② 군국기무처가 설치되었다.
- 제1차 갑오개혁(1894) 입니다.
(정답) ③ 대한국 국제가 반포되었다.
- 고종은 대한국 국제를 반포했습니다.(1899)
④ 제너럴 셔먼호 사건이 일어났다.
- 신미양요(1871)의 원인이 됩니다.
⑤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이 체결되었다.
- 임오군란(1882)의 결과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광무개혁
1. 원칙 : 구본신참(옛것을 근본으로 삼고 새것을 참고한다) 표방
2. 내용
1) 연호(건양⇒광무), 교정소(특별입법기구) 설치
2) 대한국 국제 선포(1899): 황제권 강화
3) 원수부 설치: 황제가 중앙과 지방의 군대 지휘·감독
4) 양전 사업(지계 발급), 근대적 회사·공장 설립 지원
5) 기술 학교(철도, 양잠), 전화, 우편, 전차, 경인선 개통
6) 교육 : 유학생 파견, 실업 학교와 기술 교육 기관 설립
65회 35번
Key★_(가) 황국 중앙 총상회(1898)
- 서울 상인들의 상권 수호 운동입니다.
(나) 보안회(1904)
- 보안회는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반대합니다.
(다) 국채 보상 운동(1907)
- 대구에서 서상돈, 김광제 등이 주도했으며, 대한매일신보가 지원했습니다.
- 따라서 정답은 ①번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일제의 경제 침탈과 저항
1.서울 상인들의 상권 수호 운동: 황국 중앙 총상회
2. 방곡령 시행: 함경도, 황해도 지역
3. 독립협회: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 거부, 한러은행 폐쇄
4. 황무지 개간권 요구 반대 운동: 보안회
5. 국채 보상 운동: 대구, 서상돈 중심
65회 36번
Key★_이상재, 절영도 / 독립 협회
① 정우회 선언의 영향으로 결성되었다.
- 신간회(1927)와 관련된 설명입니다.
② 만세보를 발행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 손병희를 중심으로 했던 천도교 입니다.
(정답) ③ 중추원 개편을 통해 의회 설립을 추진하였다.
- 독립 협회는 관민 공동회를 개최하여 중추원을 개편했습니다.
④ 어린이날을 제정하고 소년 운동을 전개하였다.
- 천도교 소년회 입니다.
⑤ 태극 서관을 운영하여 계몽 서적 등을 보급하였다.
- 이승훈이 평양에서 태극 서관을 조직하였습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독립협회
독립협회의 배경, 창립, 목표, 활동은 꼭 기억해 두세요:)
65회 37번
Key★_근대 역사의 현장
① (가)-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이 간행되었다.
- 박문국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② (나)-고종의 황제 즉위식이 거행된 장소이다.
- 경운궁(덕수궁)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③ (다)-백동화가 주도되었다.
- 전환국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정답) ④ (라)-을사늑약이 체결되었다.
- 맞습니다. 중명전에서 을사늑약이 체결되었습니다.
⑤ (마)-나운규의 아리랑이 처음 상영된 곳이다.
- 서울시 종로구에 세워진 단성사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근대 역사의 현장
기출에서 등장하는 근대사와 관련된 '장소'는 틈틈이 외워두세요:)
65회 38번
Key★_구한국의 국권 회복, 조선태형령 / 무단 통치(1910's)
① 원수부가 설치되었다.
- 광무개혁 시기입니다.(1899)
② 신간회가 창립되었다.
- 신간회는 1927년에 창립되었습니다.
③ 치안 유지법이 적용되었다.
- 치안 유지법은 1925년에 시행됩니다.
(정답) ④ 헌병 경찰제가 실시되었다.
- 맞습니다. 무단 통치기 입니다.
⑤ 동양 척식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 동양 척식 주식회사는 1908년에 설립되었습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무단 통치
헌병 경찰제, 태형령, 토지 조사 사업 등 키워드를 꼭 숙지하세요!
65회 39번
Key★_시대별 교육 기관
① 태학의 설립 취지를 알아본다.
- 맞습니다. 고구려의 교육 기관입니다.
② 9재 학당의 수업 내용을 조사한다.
- 맞습니다. 고려 시대 사학입니다.
③ 명륜당과 대성전의 기능을 알아본다.
- 맞습니다. 조선 시대 성균관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④ 동문학과 육영 공원의 운영 목적을 분석한다.
- 맞습니다. 근대식 학교입니다.
(정답) ⑤ 배재 학당, 이화 학당의 설립 시기를 파악한다.
- 관립 학교가 아닌 선교사가 세운 사립 학교 입니다.
- 배재학당(아펜젤러), 이화학당(스크랜턴)
핵심 내용 정리(Keyword)_근대적 교육 기관
시기별, 관립/사립별로 암기해 두시면 편합니다:)
65회 40번
Key★_보통 교육, 6년 / 제2차 조선 교육령(1922)
① 서당 규칙이 제정되었다.
- 무단 통치기 입니다(1918)
② 2·8 독립 선언이 발표되었다.
- 1919년 2월에 일본 도쿄 유학생들이 발표하였습니다.
③ 조선어 연구회가 결성되었다.
- 1921년에 조선어 연구회가 결성되었습니다.
④ 조선 여자 교육회가 조직되었다.
- 1920년 서울에서 차미리사의 주도로 조직되었습니다.
(정답) ⑤ 조선 민립 대학 설립 기성회가 창립되었다.
- 1923년에 조선 민립 대학 설립 기성회가 조직되었습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민립 대학 설립 운동
1) 배경: 2차 조선 교육령 ⇒ 일본 학제=조선 학제
⇒ 고등 교육의 기회가 열리자 대학 설립 운동 전개
2) 내용: 이상재 주도
3) 민립 대학 기성회 조직(1923) ⇒ 모금 활동(금주,금연)
⇒ 일제가 회유책으로 경성 제국 대학 설립
다음 포스팅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65회 해설(41번~50번)을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까지 화이팅!!

*문제에 대한 저작권은 '국사편찬위원회'에 있습니다.
*문항 사진 등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해설에 오류가 있을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