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화유산(불상) 정리(한능검 문화사)feat. 시대별 불상 정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화유산(불상) 정리(한능검 문화사)feat. 시대별 '불상' 정리
안녕하세요:)
역사 블로그 '토요히스토리' 입니다.
한능검을 공부하다 보면
정치사 문제는 잘 푸는데,
'문화재'를 물어보는 문제를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저도 그랬습니다ㅠㅠㅎㅎ;;
자주 보고! 자주 외우고!
방법은 단순합니다!!
이해가 아닌 암기가 필요하기에..
그래서 오늘은!!
한능검 '문화재' 파트에서
자주 등장하는 '불상' 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불상'도 '탑'과 마찬가지로
시대별/국가별로 꼭 외워두셔야 합니다:)
Ⅰ.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발해
1) 삼국의 불상: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이 많이 제작됨
2) 고구려: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 광배 뒤에 글씨를 새김, 북조+고구려(독창성)
3) 백제: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 화강암, 백제의 미소
4) 신라: 경주 배동 석조 여래 삼존 입상
5) 통일신라: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 좌상, 경주 석굴암 본존불, 철원 도피안사 비로자나불 불상
6) 발해: 이불병좌상
Ⅱ. 고려
1) 초기에 대형 철불 제작: 하남 하사창동 철조 석가 여래 좌상
2) 거대한 불상: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안동 이천동 마애 여래 입상
3) 신라 계승(균형): 영주 부석사 소조 여래 좌상
'불상'도 '탑'과 마찬가지입니다.
제시문을 분석하여 키워드를 찾아낸 후에
시대별/국가별 중요한 '불상'을
골라주시면 됩니다!
위에 언급된 '불상'은 꼭 기억해 두세요!
포스팅을 하면서
국립중앙박물관의 대표 전시
'사유의 방'에서 보았던
두 점의 반가사유상이 떠오르네요!
시험 공부도 좋지만..
아름다운 우리 문화유산을 직접 경험해 보시는
기회가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시대별/국가별
'불교 건축' 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