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기출풀이

[31번~4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5회 심화 해설(한능검 55회) feat. 한능검기출

by 토요히스토리 2025. 7. 14.
반응형

[31번~40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5회 심화 해설(한능검 55회)feat. 한능검기출

 

안녕하세요:)

역사 블로그 '토요히스토리' 입니다.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하하;;

한국사능력검정시험55회 해설(31번~40번)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할게요^^

55회 31번

Key★_구식 군인들이 일으킨, 민응식 / 임오군란(1882)

① 전개 과정에서 전주 화약이 체결되었다.

- 동학 농민 운동(1894) 입니다.

② 통리기무아문이 설치되는 배경이 되었다.

- 정부의 개화정책으로, 통리기무아문(1880)을 설치했습니다.

③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하여 일어났다.

- 갑신정변(1884) 입니다.

④ 홍범 14조를 개혁의 기본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 제2차 갑오개혁(1895) 입니다.

(정답) ⑤ 일본 공사관에 경비병이 주둔하는 계기가 되었다.

- 맞습니다. 제물포 조약이 체결되었습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임오군란(1882)

1. 배경

1) 개화 정책(통리기무아문) 추진에 대한 반발 ⇐ 개화를 위해서는 재정 확보 중요(징세강화)

2)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우(별기군 우대)

3) 민중 생활 악화

2. 전개 : 구식 군인의 봉기+도시 빈민의 합세 ⇒ 명성 황후 피신 ⇒ 흥선대원군의 일시적 재집권

⇒ 청군의 개입(김윤식 청에 SOS) ⇒ 흥선 대원군 납치 & 군란 진압 ⇒ 민씨 일파 재집권

3. 결과 : 청과 일본의 영향력 확대

1) 청

(1) 정치 : 내정간섭(고문파견) ⇒ 위안스카이(군사), 마젠창(정치), 뮐렌도르프(외교,재정)

(2) 경제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 내지무역 가능

2) 일본

(1) 정치 : 제물포 조약 ⇒ 조선 내에 일본군 주둔, 3차 수신사(박영효)

(2) 경제 : 조·일 수호 조규 속약 ⇒ 간행이정 확대(10리⇒50리)

 

55회 32번

Key★_영국군이 이 섬에 들어와, 남진을 막는다는 / 거문도 사건(1885~1887)

 

따라서, 정답은 ③번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임오군란(1882)

1. 거문도 사건(1885~1887)

1) 러시아 견제를 구실로 영국이 거문도 점령(1885)

2) 청의 중재로 철수

2. 조선 중립화론 대두

1) 부들러 : 청·일본의 충돌을 막기 위해 조선의 영세 중립화를 조선 정부에 건의

2) 유길준 : 열강의 침략으로부터 조선의 안전을 보장받기 위해 중립화론 구상

 

55회 33번

Key★_군국기무처 폐지, 내각, 23부로 개편, 재판소 / 제2차 갑오개혁

① 지계 발급

- 대한 제국 시기의 광무개혁 입니다.

② 태양력 사용

- 을미개혁(1895) 입니다.

③ 한성순보 발행

- 박문국에서 최초의 근대적 신문 '한성순보'를 발행했습니다.

④ 공사 노비법 폐지

- 제1차 갑오개혁 입니다.

(정답) ⑤ 교육 입국 조서 반포

- 맞습니다. 제2차 갑오개혁(1895)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제2차 갑오개혁(1895)

1) 정치(박영효+김홍집)

(1) 독립서고문(종묘) 발표 ⇒ 홍범14 반포(자주독립국 선포)

(2) 왕권⇓ : 의정부 8아문 ⇒ 내각 7

(3) 지방관⇓ : 8도 부·목·군·현 ⇒ 23부 군

(4) 재판소 설치 ⇒ 지방관의 행정권과 사법권 분리

(5) 훈련대(일본), 시위대(정부·미국·러시아) 설치

2) 경제 : 특권 상인의 권리⇓

(1) 육의전(조선후기)×

(2) 상리국(前혜상공국)×

3) 사회

(1) 교육입국조서(근대적 학제) 반포

(2) 한성사범학교, 소학교, 외국어학교 설립

 

55회 34번

Key★_고종이 황제로 즉위한 이후, 황제지보 / 대한제국

(정답) ① 간도 관리사로 임명되는 관료

- 맞습니다. 대한제국 시기에 이범윤이 간도 관리사로 파견되었습니다.

② 영화 아리랑을 관람하는 청년

- 나운규의 아리랑은 1926년에 개봉되었습니다.

③ 육영 공원에서 영어를 배우는 학생

- 최초의 근대식 공립 학교는 육영 공원은 1886년에 세워졌습니다.

④ 제너럴 셔먼호를 불태우는 평양 관민

- 신미양요의 배경입니다.(1866)

⑤ 조사 시찰단으로 일본에 파견되는 통역관

- 수신사에 이어 조사 시찰단을 일본에 파견하였습니다.(1881)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대한제국

1. 원칙 : 구본신참(옛것을 근본으로 삼고 새것을 참고한다) 표방 ⇒ 점진적 개혁

2. 내용

1) 정치(구본:왕권강화)

(1) 연호(건양⇒광무), 교정소(특별입법기구) 설치

(2) 대한국 국제 선포(1899) : 황제권 강화

(3) 원수부 설치(황제가 중앙과 지방의 군대 지휘·감독), 시위대·진위대 증강, 무관학교 설립

2) 경제(신참:부국강병)

(1) 양전 사업(지계 발급) : 재정 확충과 근대적 토지 소유권 보장

(2) 식산흥업 정책 : 근대적 회사·공장 설립 지원

3) 사회(신참:부국강병)

(1) 기술 학교(철도, 양잠)

(2) 전화, 우편, 전차, 경인선 개통

4) 교육 : 유학생 파견, 실업 학교와 기술 교육 기관 설립

 

55회 35번

Key★_항일 의병 운동의 전개

(가)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 / 을사의병(1905)

(나) 을미사변, 단발령 / 을미의병(1895)

(다) 13도 창의군, 서울 진공 작전 / 정미의병(1907)

(나)-(가)-(다)

 

따라서 정답은 ③번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의병

1. 을미의병(1895)

1) 배경 : 을미사변(명성황후 시해 사건), 단발령

2) 특징 : 위정척사 사상을 가진 유생층 주도 ⇒ 단발령 철회 조치, 고종의 해산 권고에 따라 해산

2. 을사의병(1905)

1) 배경 : 을사늑약 체결

2) 특징 : 민종식·최익현 등 유생 의병장 활약, 신돌석 등 평민의병장 활약

3. 정미의병(1907)

1) 배경 : 고종 강제 퇴위, 대한 제국의 군대 해산

2) 특징 : 해산 군인의 합류로 의병의 전투력이 강화, 의병 연합 부대 결성

3) 의병 연합 부대 결성(1907) : 13도 창의군(총대장:이인영, 군사장:허위)

4) 서울진공작전(1907) : 각국 영사관에 의병을 국제법상 교전 단체로 인정해 줄 것을 요청 ⇒ 실패

4. 호남의병

1) 서울진공작전 실패 후에도 활발한 활동

2) 일제의 ‘남한 대토벌 작전’(1909)으로 위축

 

55회 36번

Key★_양기탁, 베델 / 대한 매일 신보

① 최초로 상업 광고를 실었다.

- 한성주보 입니다.

② 천도교의 기관지로 발행되었다.

- 만세보 입니다.

③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이었다.

- 서재필이 창간한 독립신문 입니다.

(정답) ④ 국채 보상 운동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 맞습니다. 국채 보상 운동을 지원하였습니다.

⑤ 일장기를 삭제한 손기정 사진을 게재하였다.

- 동아일보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대한 매일 신보

1) 한성순보(10일) : 최초의 신문(관보), 박문국에서 발행, 순한문

2) 한성주보(7일) : 국한문 혼용, 최초로 상업 광고 게재

3) 독립신문 : 서재필 발행, 최초의 민간 신문, 한글판·영문판

4) 제국신문 : 이종일 발행, 서민층·부녀자 대상의 순한글 신문

5) 황성신문 : 남궁억 발행, 국한문 혼용 신문, ‘시일야방송대곡’ 게재

6) 대한매일신보 : 양기탁·베댈 운영, 순한글·국한문·영문판 발행, 국채보상운동 지원

7) 만세보 : 천도교에서 발행, 국한문 혼용 신문

 

55회 37번

Key★_일본이 러시아에 선전포고한 이후, 폐하의 인준과 참정의 인가를 받은 것이 아니니 / 을사늑약(1905)

① 제1차 영일 동맹이 체결되었다.

- 러시아의 확장을 견제하기 위해 1902년에 체결하였습니다.

② 일본이 경인선 부설권을 인수하였다.

- 경인선은 1899년에 개통되었습니다.

③ 묄렌도르프가 외교 고문으로 파견되었다.

- 임오군란(1882)의 결과입니다.

(정답) ④ 통감부가 설치되고 초대 통감이 부임하였다.

- 맞습니다. 을사늑약의 결과입니다.

⑤ 러시아가 용암포를 점령하고 조차를 요구하였다.

- 용암포 사건(1903)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을사늑약(1905)

1) 통감정치 ⇒ 통감부 설치

2) 외교권 박탈 : 조약을 체결할 때 일본의 중개를 거친다

 

55회 38번

Key★_역사학자, 한국통사, 제2대 대통령 / 박은식

① 진단 학회를 창립하고 진단 학보를 발행하였다.

- 이병도, 손진태 입니다.

② 여유당전서를 간행하고 조선학 운동을 전개하였다.

- 정인보 입니다.

③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 평화 회의에 특사로 파견되었다.

- 이준, 이상설, 이위종 입니다.

④ 평양에서 조선 물산 장려회 발기인 대회를 개최하였다.

- 조만식 입니다.

(정답) ⑤ 실천적인 유교 정신을 강조하는 유교구신론을 저술하였다.

- 맞습니다. 박은식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박은식(인물사)

1) <한국통사>-1910’s: 근대 이후 일본의 침략 과정 밝힘

(“나라는 형(形)이요, 역사는 신(神)이다.”

2) <한국독립운동지혈사>

3) 민족사관: 민족정신을 혼(魂)으로 파악

 

55회 39번

Key★_(가) 조선 총독부를 설치 / 한일 병합 조약(1910)

(나) 총독 임용의 범위 확장, 경찰 제도 개정 / 문화 통치 전환(1919)

① 미곡 공출제가 실시되었다.

- 민족 말살 통치기 입니다.

(정답) ② 조선 태형령이 시행되었다.

- 맞습니다. 무단 통치기 입니다.

③ 국민 징용령이 제정되었다.

- 민족 말살 통치기 입니다.

④ 경성 제국 대학이 설립되었다.

- 문화 통치기 입니다.

⑤ 황국 신민 서사의 암송이 강요되었다.

- 민족 말살 통치기 입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무단 통치(1910's)

1. 조선 총독부 설치(1910)

1) 일제 강점기 식민 통치의 최고 기관

2) 총독은 일본 육·해군 대장 중에 임명

※ 국권 침탈후 일본은 한반도를 ’조선‘, 한국인을 ’조선인‘이라고 지칭함(대한제국X)

2. 헌병 경찰 제도

1) 헌병 : 경찰 지휘, 일반 경찰 업무 및 행정 업무까지 관여

2) 태형령 : 오직 조선인들에게만 적용

3) 즉결처분권 : 정식 재판 절차를 걸치지 않아도 벌금·태형 등 처벌을 가할 수 있음

3. 중추원(자문기구) 설치 : 친일파 양성

4. 교육 차별

1) 보통학교 수업 연한 차별(일본:6년 vs 조선:4년)

2) 사립학교 탄압 ⇒ 개량 서당 전환 ⇒ 서당 규칙(1918)으로 탄압

5. 관리와 교원의 제복 및 칼 착용

6. 기본권 박탈 :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등 기본권 제한 및 박탈

 

55회 40번

Key★_청년 김상옥, 김원봉이 조직 / 의열단

(정답) ① 조선 혁명 선언을 행동 강령으로 삼았다.

- 맞습니다. 신채호가 '조선 혁명 선언'을 작성했습니다.

② 비밀 행정 조직으로 연통제를 실시하였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입니다.

③ 고종의 밀지를 받아 결성된 비밀 단체이다.

- 독립 의군부 입니다.

④ 도쿄에서 일어난 이봉창 의거를 계획하였다.

- 한인 애국단 입니다. 

⑤  신흥 무관 학교를 세워 무장 투쟁을 준비하였다.

- 신민회가 신흥 강습소를 설립하고, 이후 신흥 무관 학교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핵심 내용 정리(Keyword)_의열단

1) 김원봉 등이 결성(1919) : 무정부주의(아나키즘) 지향

※ 무정부주의 : 일체의 정치권력이나 공공적 강제의 필요성을 부정하고 개인의 자유를 최상의 가치로 내세우려는 사상

2) ‘조선 혁명 선언’(신채호)을 지침으로 활동 : 민중과 함께 폭력으로 싸워야 한다!

3) 활동 내용

(1) 김익상 : 조선 총독부에 폭탄 투척

(2) 김상옥 : 종로 경찰서에 폭탄 투척

(3) 나석주 : 식산은행, 동양척식주식회사에 폭탄 투척

(4) 김지섭 : 일본 궁성에 폭탄 투척

4) 개편 : 개별 투쟁에 한계를 느끼고 군사조직으로 귀결!!

(1) 황포군관학교 입교(1925)

(2) 조선 혁명 간부학교(1932) 설립

(3) 민족혁명당(1935) 조직

(4) 군사조직(조선의용대.1938) : 중국관내 최초 조선인 군사조직

 

다음 포스팅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55회 해설(41번~50번)

이어서 풀이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제에 대한 저작권은 '국사편찬위원회'에 있습니다.

*문항 사진 등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해설에 오류가 있을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