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 및 미술관 준학예사]/한국사

[한국사] 제16회_2015년 준학예사 한국사 기출 분석(한국사 주제)feat. 준학예사 기출

by 토요히스토리 2025. 1. 27.
반응형

[한국사] 제16회_2015년 준학예사 한국사 기출 분석(한국사 주제)feat. 준학예사 기출

안녕하세요:)

역사 블로그 '토요히스토리' 입니다.

역대 기출문제

연도별 기출주제 분석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큐넷홈페이지(기출 문제)

준학예사_한국사(연도별 기출 주제 분석)

 

마지막 포스팅입니다!!

드디어 2015년~2024년 기출을 모두 분석하게 되네요 ㅎㅎ

2015년 준학예사(제16회)는

고대의 지방 통치 조직(삼국,통일신라,발해),

조선시대 교육제도

출제되었습니다. 

 

제 17회(2016) 문제가 굉장히 단순했다고 생각했는데..제 16회(2015) 문제를 보니 이해가 되었습니다.꽤나 까다로운 문제였는데요!!역시 주제별 제도사는 꼭 정리해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15년 준학예사(제16회)_'한국사' 기출 분석

바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 1] 고대의 지방 통치 조직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50점)

물음 1) 삼국의 지방 제도 (10)

★ 핵심 SUB ★

1. 고구려의 지방 제도

 1) 수도: 5(동부, 서부, 남부, 북부, 내부)

 2) 지방: 전국을 5()로 구분(추정), 176여 개의 성을 중층적으로 편제·구성

 3) 3: 평양성, 군내성, 한성

 4) 지방관: 욕살-처려근지-누초 등이 행정·군사 관정

2. 백제의 지방 제도

 1) 수도: 5부 구성(군대 주둔), 그 밑에 5() 구성

 2) 지방: 5() 구성, 그 밑에 군() 위치(37. 200) 지방관(방령, 군장 등의 배치, 행정·군사 관장)

3. 신라의 지방 제도

 1) 수도: 6(급량부, 사량부, 모량부, 본피부, 한기부, 습비부)

 2) 주군제(州郡制) 확립 이후 현() 설치 추정

  - 소경: 지배층 분산, 왕경 인구 과밀 해소, 재화 분산, 지방 문화 중심지 수립

  - 지방관: 군주·당주·도사 도독·태수·소수

 

물음 2) 통일신라의 지방 제도: 5소경 / 9, ··, 상수리제도 (35)

★ 핵심 SUB ★

1. 5소경

 1) 목적: 수도 편재 보완, 피정복민의 불만 무사·감시, 해당 지역 지배 공고화

 2) 확립: 국원소경, 북원소경, 남원소경, 서원소경, 금관소경

2. 9

 1) 성립: 삼국 통일 등 정복 지역 재편 과정에서 성립

 2) 편제: 신라(3), 백제(3), 고구려(3)

 3) 행정적 성격 강화: ‘군주총관도독등 장관 칭호 변동

 4) 하부 기구: 태수(현령() 파견

3. ··

 1) : 장관으로 태수(太守)가 임명

 2) : 그 격에 따라 소수(少守) 또는 현령(縣令)이 임명. 현까지의 외관은 모두 중앙으로부터 임명·파견됨

 3) : ··현 밑에는 일반적으로 촌()이라는 작은 행정구역이 설정

  - 행정촌(行政村)은 몇 개의 자연촌(自然村)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촌주(村主)의 관할 아래 있음

  - 촌주는 그 지방의 토착세력 중에서 임명되었고, 중앙으로부터 지방관이 파견된 지방행정기관의 통제를 받음

4. 상수리제도

 1) 통일 신라 시대 지방 호족들을 중앙에 머물게 하는 제도로 왕권 강화를 위해 실시

 2) 특징: 고려의 기인제도, 조선의 경저리 제도와 유사

*주·군·현

신라는 6세기 중반 한강 유역을 차지하며 신주(新州)를 추가했고, 삼국통일을 이룬 뒤에 9주 5소경을 갖췄다. 전국을 9개의 광역 주로 구획하고 각 주에 도독(都督)을 파견했으며, 그 아래 117개의 군(郡)에는 태수, 293개의 현(縣)에는 현령을 파견했다. 그리고 673년(문무왕 13)에 주와 군에는 외사정(外司正)을 파견해 지방관을 감찰했다.(시민의 한국사1/p.178)

 

물음 3) 발해의 지방 제도 (5)

★ 핵심 SUB ★

1. 5() 15() 62()

 1) 5(): 상경·중경·동경·남경·서경 수도를 포함하여 주요 거점에 설치

 2) 15(): 발해를 구성하는 각 종족의 거주지별로 설치, 도독 파견, 교통의 요충지 역할(용원부 등)

 3) 62(): 명칭 변화(고구려중국식), () 아래 200여 개의 현() 설치

2. 지방관

 1) 파견: 도독()-자사()-현승() 파견, 대부분 고구려인 임명

 2) 수령: 현 아래 일본 촌락에는 현지 유력자인 수령이 통치

 

[문제 2] 다음 항목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교육 제도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50점)

물음 1) 향교(鄕校)와 성균관(成均館) (20점)

★ 핵심 SUB ★

1. 향교(鄕校)

 1) 특징: 지방의 중등교육기관

 2) 역할: 성현(공자+선현)에 대한 제사, 유생 교육·지방민 교화

 3) 설립: 전국 부···현에 각각 하나씩 설치 중앙에서 교수·훈도 파견

 4) 정원

  - 군현의 위상과 크기에 따라 입학 정원이 정해짐 교생이 되면 군역 면제, 성적이 나쁘면 군역 동원

  - 성적 우수자는 생원·진사시의 초시 면제, 평민도 입학 가능

2. 성균관(成均館)

 1) 설치: 태조 7(1398) 설치, 조선 시기 최고 교육 기관

 2) 정원: 초기 150세종 이후 200

 3) 구성: 상재생(소과 합격생) + 기재생(하재생·승보시 합격생 + 고위 관리의 아들)

 4) 집단 행동: 소행(집단 시위), 권당(수업 거부·단식 투쟁), 공관(집으로 복귀)

 5) 구조: 명륜당(강의실) + 문묘(대성전+동무·서무, 성현 제사) + 동재·서재(기숙사) + 존경각(도서관) + 양현고(성균관 학생들의 식량과 물품 담당)

 

물음 2) 서원(書院) (15)

★ 핵심 SUB ★

1. 서원(書院)

 1) 목적: 선현에 대한 봉사, 지방 양반 자제 교육

 2) 백운동 서원

  - 설립: 주세붕이 안향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최초의 서원

  - 소수서원: 풍기 군수로 부임한 이황에 의해 사액 수여(명종), 명칭 변경

 3) 영향

  - 학문 발전: 지방에서 학문 연구·교육의 중심 역할 담당, 지방 문화 발달과 풍속 교화

  - 붕당 기반: 선현·향현을 제사지내며 학파와 붕당 결속, 공론 형성

 4) 구조: 사당(제사) + 강당(강의실) + 동재·서재(기숙사)

 

물음 3) 잡학(雜學) (15)

★ 핵심 SUB ★

1. 잡과(雜科)

 1) 종류: 역과(··여진·), 의과, 음양과, 율과

 2) 자격: ·현직 고위 기술관의 추천 잡학 교육(잡학생도, 해당 관청·지방 군현) 잡과 응시

 3) 응시 계층: 잡학생도와 7품 이하 전·현직 기술관

 4) 과정: 초시와 복시로 구성

 5) 구성: 역과(중국어, 몽골어, 일본어, 여진어), 율과(율학), 의과(의학), 음양과(천문학, 지리학, 명과학)

2. 잡학(雜學)

  - 조선이 건국되자, 유학 이외의 전문기능직에 대한 차별의식이 생기게 되었다. 이는 사대부들이 관념적으로 기술을 천시하는 의식과 함께 자신들의 특권과 지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른 직종을 하급신분층으로 계층화하여 자신들과 구분하고, ·무 양반관직으로의 진출을 억제하려는 의도에서였다.

  - 조선시대의 기술관들은 먼저 각각의 기술학에 입학하여 전문지식을 습득한 뒤 잡과(雜科)나 잡학취재(雜學取才)를 통하여 등용되었다. 이를 위하여 여러 종류의 잡학이 설치되었는데, 사역원(司譯院전의감(典醫監관상감·호조·형조·도화서(圖畵書소격서(昭格署장악원(掌樂院) 및 각 지방 관아에서 각기 운영하던 역학·의학·음양학·산학·율학·화학(畵學도학·악학(樂學) 등이 그것이다. (한국민족대백과사전)


준학예사 시험은 임용고시와 마찬가지로,

선택과목(논술형)은 답안이 공개되지 않고 있습니다.

채점 기준은 저도 명확히 알 수 없지만..

여러 개론서들을 참고해서 최대한 정리보았습니다:)

도움되는 선에서 참고용으로 봐주세요^^

오류가 있거나 잘못된 부분은 언제든 댓글로 알려주세요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반응형